'反MB' 정서 강하게 표출됐던 '盧 조문정국' 재현 우려도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로 인해 청와대와 한나라당 등 여권은 한마디로 좌불안석(坐不安席)이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 봇물을 이루던 조문행렬의 악몽이 되살아나기 때문이다.
특히 미디어법 관련법 강행처리로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더욱 수세에 몰려 있던 상황에서 모처럼만에 현정은 회장의 방북성과로 인해 어느 정도 민심이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도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하고 말았다.
더구나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선거구제·행정구역 개편, 선거횟수 축소 등을 언급, 정면으로 승부수를 던져 정국의 주도권을 쥐고 나가려는 시점이었다.
그런데 서거정국'으로 인해 또다시 여론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특히 노무현-김대중 전 대통령의 연이은 서거로 진보진영의 결집을 불러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문제는 중도 진영의 선택이다.
만일 중도 진영마저 진보진영 쪽에 힘을 실어줄 경우, 당청은 추진력 상실로 국정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일단 민주당은 ‘서거정국’을 십분 활용해 정국 주도권을 쥐고 나가려고 할 것이다.
물론 외형상으로는 나라의 '큰 어른'이자 민주당의 '어버이' 같은 존재였던 김 전 대통령 서거에 정략적 목적을 가진 활동을 금기시하고 있는 모양새다.
실제 민주당은 지난 18일 김 전 대통령의 서거가 공식 발표되자 장외투쟁 등 모든 일정을 중단하고 상주를 자처하고 나섰다.
정세균 대표도 지도부 긴급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은 이제 고아가 됐다"고 허탈해하며 슬퍼했다.
현재 민주당은 중앙당 및 시도당 각 지역위원회 사무실에 분향소를 설치하는 한편 영등포 당사에 상황실을 두고 장례와 관련한 대책, 일정, 지원방안 등을 신속하게 마련키로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하는 국민들과 소통하는 민주당의 모습이 향후 정국을 이끄는데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김 전 대통령은 사실상 '마지막 연설'이 된 지난 6월11일 '6·15남북공동선언 9주년 기념행사'에서 "이 땅에 독재가 다시 살아나고 있고, 빈부 격차가 역사상 최악으로 심해졌고, 전쟁의 길(위협)이 있다"며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김 전 대통령이 평생 이룩하려고 노력해 온 민주주의와 서민경제, 남북관계 발전이 민주당의 모토와 맞닿아 있다”며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이러한 부분들이 약화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 정국 주도권 확보가 용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상주를 자처한 민주당이 ‘서거정국’을 정략적으로 이용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한나라당과 청와대는 여전히 불안하다.
‘반이명박(MB)’ 정서가 강하게 표출됐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조문정국에 이은 ‘제2의 조문정국’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야당을 향해 김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 ‘화합’을 강조하고 나선 것도 이런 유에서 기인한 것이다. 실제 안 원내대표는 “김 전 대통령 서거를 전기로 지역과 정파를 초월한 대통합·대화해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야말로 고인의 뜻을 받드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로 인해 청와대와 한나라당 등 여권은 한마디로 좌불안석(坐不安席)이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 봇물을 이루던 조문행렬의 악몽이 되살아나기 때문이다.
특히 미디어법 관련법 강행처리로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더욱 수세에 몰려 있던 상황에서 모처럼만에 현정은 회장의 방북성과로 인해 어느 정도 민심이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도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하고 말았다.
더구나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선거구제·행정구역 개편, 선거횟수 축소 등을 언급, 정면으로 승부수를 던져 정국의 주도권을 쥐고 나가려는 시점이었다.
그런데 서거정국'으로 인해 또다시 여론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특히 노무현-김대중 전 대통령의 연이은 서거로 진보진영의 결집을 불러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문제는 중도 진영의 선택이다.
만일 중도 진영마저 진보진영 쪽에 힘을 실어줄 경우, 당청은 추진력 상실로 국정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일단 민주당은 ‘서거정국’을 십분 활용해 정국 주도권을 쥐고 나가려고 할 것이다.
물론 외형상으로는 나라의 '큰 어른'이자 민주당의 '어버이' 같은 존재였던 김 전 대통령 서거에 정략적 목적을 가진 활동을 금기시하고 있는 모양새다.
실제 민주당은 지난 18일 김 전 대통령의 서거가 공식 발표되자 장외투쟁 등 모든 일정을 중단하고 상주를 자처하고 나섰다.
정세균 대표도 지도부 긴급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은 이제 고아가 됐다"고 허탈해하며 슬퍼했다.
현재 민주당은 중앙당 및 시도당 각 지역위원회 사무실에 분향소를 설치하는 한편 영등포 당사에 상황실을 두고 장례와 관련한 대책, 일정, 지원방안 등을 신속하게 마련키로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하는 국민들과 소통하는 민주당의 모습이 향후 정국을 이끄는데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김 전 대통령은 사실상 '마지막 연설'이 된 지난 6월11일 '6·15남북공동선언 9주년 기념행사'에서 "이 땅에 독재가 다시 살아나고 있고, 빈부 격차가 역사상 최악으로 심해졌고, 전쟁의 길(위협)이 있다"며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김 전 대통령이 평생 이룩하려고 노력해 온 민주주의와 서민경제, 남북관계 발전이 민주당의 모토와 맞닿아 있다”며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이러한 부분들이 약화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 정국 주도권 확보가 용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상주를 자처한 민주당이 ‘서거정국’을 정략적으로 이용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한나라당과 청와대는 여전히 불안하다.
‘반이명박(MB)’ 정서가 강하게 표출됐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조문정국에 이은 ‘제2의 조문정국’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야당을 향해 김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 ‘화합’을 강조하고 나선 것도 이런 유에서 기인한 것이다. 실제 안 원내대표는 “김 전 대통령 서거를 전기로 지역과 정파를 초월한 대통합·대화해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야말로 고인의 뜻을 받드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