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국제화 지원을 담당해 온 한국지방자치단체국제화 재단이 올해 연말까지 해체된다.
행정안전부는 산하기관인 자치단체국제화 재단이 경영효율화와 체질개선을 위해 전면 구조조정을 단행한다고 30일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국제화재단에서 운영 중인 뉴욕, 동경 등 5곳의 해외사무소를 올해 말까지 폐지하고, 해외사무소에서 근무 중인 21명의 지방공무원은 외교통상부 재외공관 직무파견으로 전환된다.
국제화재단 해산에 따른 업무는 전국시·도지사협의회와 행안부로 이관해 추진된다.
1994년 국제화재단이 설립된 이후 적립된 기금 419억원 중 지자체 출연분 229억원은 각 지자체에 다문화가정 등 서민들의 일자리 창출사업에 투입된다.
지자체 출연분은 각 지자체에 배분해 결혼이민자 가정 방문 교육지도사 양성사업, 외국인 이주여성의 행정지원요원이나 유치원·초등학교 파견교사 채용 등 일자리 창출예산에 집행토록 해 서민생활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각 지자체별 배분금액은 시·도광역단체 3억~7억원, 시·군·구 기초단체 3000만원~1억1000만원이다.
나머지 국비지원분 190억원은 전국시·도지사협의회에 이관해 지방의 국제화 업무를 지원하는데 사용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이번 국제화재단 구조조정을 통해 사업비와 운영비, 인건비 등 연간 63억원의 예산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산하기관의 경영효율화와 지방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대승적인 차원에서 해산을 결정했다"면서 "앞으로 타 기관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민장홍 기자 mjh@siminilbo.co.kr
행정안전부는 산하기관인 자치단체국제화 재단이 경영효율화와 체질개선을 위해 전면 구조조정을 단행한다고 30일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국제화재단에서 운영 중인 뉴욕, 동경 등 5곳의 해외사무소를 올해 말까지 폐지하고, 해외사무소에서 근무 중인 21명의 지방공무원은 외교통상부 재외공관 직무파견으로 전환된다.
국제화재단 해산에 따른 업무는 전국시·도지사협의회와 행안부로 이관해 추진된다.
1994년 국제화재단이 설립된 이후 적립된 기금 419억원 중 지자체 출연분 229억원은 각 지자체에 다문화가정 등 서민들의 일자리 창출사업에 투입된다.
지자체 출연분은 각 지자체에 배분해 결혼이민자 가정 방문 교육지도사 양성사업, 외국인 이주여성의 행정지원요원이나 유치원·초등학교 파견교사 채용 등 일자리 창출예산에 집행토록 해 서민생활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각 지자체별 배분금액은 시·도광역단체 3억~7억원, 시·군·구 기초단체 3000만원~1억1000만원이다.
나머지 국비지원분 190억원은 전국시·도지사협의회에 이관해 지방의 국제화 업무를 지원하는데 사용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이번 국제화재단 구조조정을 통해 사업비와 운영비, 인건비 등 연간 63억원의 예산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산하기관의 경영효율화와 지방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대승적인 차원에서 해산을 결정했다"면서 "앞으로 타 기관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민장홍 기자 mj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