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행정부처의 세종시 이전을 사실상 전면 백지화 하고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로 조성하는 내용의 수정안이 11일 발표됐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종합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세종시 민간합동위원회의 의견 조율을 거친 최종 수정안을 공개했다.
정 총리가 발표한 수정안에 따르면 세종시에는 ‘9부2처2청’의 이전 대신, 세계 첨단의 중이온 가속기, 3000명이 넘는 국내의 과학자를 수용하게 될 기초과학연구원, 융ㆍ복합 연구대학원중심의 국제과학기술원 등이 들어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조성된다.
또한 삼성, 한화, 웅진, 롯데, SSF 등 고용과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선도 대기업 유치를 통한 첨단녹색산업지구가 조성돼 연구와 생산이 결합된 새로운 사업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밖에 정부는 중소규모의 협력업체도 함께 입주해 고용을 원안보다 3배 이상 높이고 생산을 대폭 확대하도록 지원하며, 벤처형 중소기업 유치부지도 별도로 확보하게 된다.
대학단지는 고려대학교와 KAIST가 당초 약속했던 것보다 더 큰 규모로 들어오게 되며, 기초과학과 융ㆍ복합 기술, 바이오 메디컬 분야의 중심 대학원과 관련시설도 200만㎡의 부지에 들어서게 된다.
정 총리는 이번 발전방안에 따른 민간부분의 투자액은 15조원 정도인 현행 세종시 계획의 3배에 가까운 총 40조원 규모가 될 것이며, 이는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 보더라도 행정도시계획보다 훨씬 유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업과 자본을 흡수하는 ‘블랙홀’이 아니라 기초과학과 원천기술, 새로운 산업을 만들어내는 중심축이 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 총리는 혁신도시의 역차별 우려에 대해서는 “세종시로 지나치게 국가자원이 몰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는데 이런 우려는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며 “세종시에 제공되는 세제혜택은 혁신도시 입주기업에도 그대로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 총리는 “임기내 필요한 공사를 모두 착공하고 일부는 완공해 전체 조성계획을 예정보다 10년 앞당겨 추진할 방침”이라며 “이를 위해 세종시에 참여하기로 한 민간기업들도 곧 투자계획을 발표하고 정부측과 양해각서를 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정부대로 관련법과 제도를 서둘러 정비해 삶의 터전을 내주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주민들께도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정운찬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종합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세종시 민간합동위원회의 의견 조율을 거친 최종 수정안을 공개했다.
정 총리가 발표한 수정안에 따르면 세종시에는 ‘9부2처2청’의 이전 대신, 세계 첨단의 중이온 가속기, 3000명이 넘는 국내의 과학자를 수용하게 될 기초과학연구원, 융ㆍ복합 연구대학원중심의 국제과학기술원 등이 들어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조성된다.
또한 삼성, 한화, 웅진, 롯데, SSF 등 고용과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선도 대기업 유치를 통한 첨단녹색산업지구가 조성돼 연구와 생산이 결합된 새로운 사업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밖에 정부는 중소규모의 협력업체도 함께 입주해 고용을 원안보다 3배 이상 높이고 생산을 대폭 확대하도록 지원하며, 벤처형 중소기업 유치부지도 별도로 확보하게 된다.
대학단지는 고려대학교와 KAIST가 당초 약속했던 것보다 더 큰 규모로 들어오게 되며, 기초과학과 융ㆍ복합 기술, 바이오 메디컬 분야의 중심 대학원과 관련시설도 200만㎡의 부지에 들어서게 된다.
정 총리는 이번 발전방안에 따른 민간부분의 투자액은 15조원 정도인 현행 세종시 계획의 3배에 가까운 총 40조원 규모가 될 것이며, 이는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 보더라도 행정도시계획보다 훨씬 유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업과 자본을 흡수하는 ‘블랙홀’이 아니라 기초과학과 원천기술, 새로운 산업을 만들어내는 중심축이 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 총리는 혁신도시의 역차별 우려에 대해서는 “세종시로 지나치게 국가자원이 몰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는데 이런 우려는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며 “세종시에 제공되는 세제혜택은 혁신도시 입주기업에도 그대로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 총리는 “임기내 필요한 공사를 모두 착공하고 일부는 완공해 전체 조성계획을 예정보다 10년 앞당겨 추진할 방침”이라며 “이를 위해 세종시에 참여하기로 한 민간기업들도 곧 투자계획을 발표하고 정부측과 양해각서를 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정부대로 관련법과 제도를 서둘러 정비해 삶의 터전을 내주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주민들께도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