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당론 안따른 의원 징계해 본 적 없다"
[시민일보] 민주당 지도부가 추미애 의원에 대해 당원자격 1년 정지라는 중징계를 내린 것과 관련, 한화갑(사진) 민주당 전 대표가 “지나쳤다”라며 징계 철회를 촉구하는 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한화갑 전 대표는 22일 오전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를 통해 “제가 과거 원내총무할 때도 국회에서 당론을 가지고 표결을 하더라도 당론을 따르지 않는 국회의원도 있었는데 그렇다고 해서 그 국회의원을 한 번도 징계해 본 적이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 전 대표는 “나는 징계에 대해 반대했던 사람이고 민주당이 이제는 정치단체인데, 그렇기 때문에 (이 문제의)해결에서 성숙된 모습을 보여주는 게 좋을 것”이라며 ‘징계 자체를 안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인가’라는 질문에 “그런 징계한다는 것에 대해 처음부터 마땅치 않게 생각했었다”라고 대답했다.
그는 이번 환경노동위원회에서의 노동법 처리과정에 대해 “추미애 위원장 입장에서는 민주당 국회의원들이 들어오는 것을 봉쇄한 적은 없고 오히려 민주당 의원들이 들어왔다가 나가겠다고 해서 통로를 열어줬다는 얘기가 있다”며 “그건 당원의 입장이 아니고 국회 상임위원장의 입장에서 국민에게 안을 만들어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고유의 권한이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민주당에서 당론이라고 해서 정책위의장이 가져왔다고 했는데 당론이 어떻게 된 것이냐 제가 물었더니 아무 것도 없었다고 답이 왔다”며 “민주당도 노동법에 있어 뚜렷한 민주당의 안을 가지고 상임위에서 투쟁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를 위한 반대 같은 인상을 줬다”고 지적했다.
그는 “절충과정에서 타협할 수도 있는데 결국 민주당은 끝까지 사별노조가 교섭권을 각자 갖도록 하는 안을 고집했고, 추미애 위원장은 그것을 복수노조는 인정하되 교섭권은 어느 한 쪽으로 하는 것으로 타협을 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전 대표는 추 위원장이 이번 징계안에 반발하며 시민들에게 호소하고 나간 것에 대해 “판단은 국민들이 하는 것이고 억울한 것을 국민들을 통해 호소해서 알린다는 정치적 목적도 있겠지만, 정치인이라면 어떤 형태든 국민을 상대로 자기 주장을 펼려고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시민일보] 민주당 지도부가 추미애 의원에 대해 당원자격 1년 정지라는 중징계를 내린 것과 관련, 한화갑(사진) 민주당 전 대표가 “지나쳤다”라며 징계 철회를 촉구하는 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한화갑 전 대표는 22일 오전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를 통해 “제가 과거 원내총무할 때도 국회에서 당론을 가지고 표결을 하더라도 당론을 따르지 않는 국회의원도 있었는데 그렇다고 해서 그 국회의원을 한 번도 징계해 본 적이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 전 대표는 “나는 징계에 대해 반대했던 사람이고 민주당이 이제는 정치단체인데, 그렇기 때문에 (이 문제의)해결에서 성숙된 모습을 보여주는 게 좋을 것”이라며 ‘징계 자체를 안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인가’라는 질문에 “그런 징계한다는 것에 대해 처음부터 마땅치 않게 생각했었다”라고 대답했다.
그는 이번 환경노동위원회에서의 노동법 처리과정에 대해 “추미애 위원장 입장에서는 민주당 국회의원들이 들어오는 것을 봉쇄한 적은 없고 오히려 민주당 의원들이 들어왔다가 나가겠다고 해서 통로를 열어줬다는 얘기가 있다”며 “그건 당원의 입장이 아니고 국회 상임위원장의 입장에서 국민에게 안을 만들어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고유의 권한이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민주당에서 당론이라고 해서 정책위의장이 가져왔다고 했는데 당론이 어떻게 된 것이냐 제가 물었더니 아무 것도 없었다고 답이 왔다”며 “민주당도 노동법에 있어 뚜렷한 민주당의 안을 가지고 상임위에서 투쟁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를 위한 반대 같은 인상을 줬다”고 지적했다.
그는 “절충과정에서 타협할 수도 있는데 결국 민주당은 끝까지 사별노조가 교섭권을 각자 갖도록 하는 안을 고집했고, 추미애 위원장은 그것을 복수노조는 인정하되 교섭권은 어느 한 쪽으로 하는 것으로 타협을 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전 대표는 추 위원장이 이번 징계안에 반발하며 시민들에게 호소하고 나간 것에 대해 “판단은 국민들이 하는 것이고 억울한 것을 국민들을 통해 호소해서 알린다는 정치적 목적도 있겠지만, 정치인이라면 어떤 형태든 국민을 상대로 자기 주장을 펼려고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