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북한이 지난 25일 서해상에 항해금지구역을 선포한데 이어 27일 전격적으로 해안포 사격을 실시한 것에 대해 여야 정치권이 북측에 군사적 도발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한나라당 조해진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북한이 서해 NLL 이남에 해안포를 발사한 것은 영해침범 행위고 휴전협정의 정신을 위반한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조 대변인은 “북한이 최근 항해금지구역이라고 하며 우리 영해 일부를 금지구역에 포함시키는 자의적 설정을 한 것은 서해 NLL을 무력화하려는 시도”라며 “오늘 북측이 우리 영해를 향해 포 사격까지 한 것은 도발을 통해 의도적으로 남북간 긴장을 고조시키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북측의 행동은 남북관계는 물론 북한 스스로에게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그런 류의 도발적 행태가 북측에 이득을 가져다주던 시대는 이미 지났음을 북측이 명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북측은 남북관계 발전과 한번도 평화안정을 해치는 도발 행태들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와 협력을 통한 평화와 상생의 새로운 남북관계 정립에 나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민주당 제2정책조정위원장인 안규백 의원도 이날 배포한 성명서를 통해 “군사적 도발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경고했다.
안 의원은 “북한 당국의 군사적 행위에 우리는 깊은 유감을 표하며, 이같은 군사적 행동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며 “우리 정부도 신중하게 위기관리를 해야 하며 남북간 교전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은 올해 들어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는데 평화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요구할 때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며 “오늘과 같은 북한의 군사적 도발은 향후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에 어떠한 이득도 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NLL에 함포 사격은 대한민국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라며 강하게 비난했다.
박선영 대변인은 이날 서면 논평을 통해 “북방한계선을 무력화하기 위해 NLL을 항해금지구역으로 선포한지 이틀 만에 행동으로 보여준 것이지만, 이는 명백한 국토침범이자 대한민국에 대한 도전”이라고 경고했다.
박 대변인은 “우리 군이 즉각 형식적인 대응을 했다지만, 정부당국은 ‘북한군의 동향과 북한의 의도, 대응 방향 등을 면밀하게 검토 중’이라는 한심한 발표만 계속하고 있다”며 정부의 늑장대응을 지적했다.
그는 “북한이 언제부터 엄포를 놓았는데 아직도 ‘검토 중’인가”라고 되물으며 “세종시 수정은 전광석화처럼 밀어붙이는 정권이 북한의 도발에는 검토만 하는가”라고 비판했다.
그는 “북한으로 인해 우리가 겪어야 했던 현대사의 슬픈 곡절과 짙은 음영을 더 이상 우리 후손에 넘겨줘서는 안 된다”라며 “명백히 영토침범 아닌가. 북한의 도발에는 강력한 응징만이 묘약 중의 묘약이니 강력히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촉구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한나라당 조해진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북한이 서해 NLL 이남에 해안포를 발사한 것은 영해침범 행위고 휴전협정의 정신을 위반한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조 대변인은 “북한이 최근 항해금지구역이라고 하며 우리 영해 일부를 금지구역에 포함시키는 자의적 설정을 한 것은 서해 NLL을 무력화하려는 시도”라며 “오늘 북측이 우리 영해를 향해 포 사격까지 한 것은 도발을 통해 의도적으로 남북간 긴장을 고조시키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북측의 행동은 남북관계는 물론 북한 스스로에게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그런 류의 도발적 행태가 북측에 이득을 가져다주던 시대는 이미 지났음을 북측이 명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북측은 남북관계 발전과 한번도 평화안정을 해치는 도발 행태들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와 협력을 통한 평화와 상생의 새로운 남북관계 정립에 나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민주당 제2정책조정위원장인 안규백 의원도 이날 배포한 성명서를 통해 “군사적 도발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경고했다.
안 의원은 “북한 당국의 군사적 행위에 우리는 깊은 유감을 표하며, 이같은 군사적 행동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며 “우리 정부도 신중하게 위기관리를 해야 하며 남북간 교전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은 올해 들어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는데 평화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요구할 때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며 “오늘과 같은 북한의 군사적 도발은 향후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에 어떠한 이득도 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NLL에 함포 사격은 대한민국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라며 강하게 비난했다.
박선영 대변인은 이날 서면 논평을 통해 “북방한계선을 무력화하기 위해 NLL을 항해금지구역으로 선포한지 이틀 만에 행동으로 보여준 것이지만, 이는 명백한 국토침범이자 대한민국에 대한 도전”이라고 경고했다.
박 대변인은 “우리 군이 즉각 형식적인 대응을 했다지만, 정부당국은 ‘북한군의 동향과 북한의 의도, 대응 방향 등을 면밀하게 검토 중’이라는 한심한 발표만 계속하고 있다”며 정부의 늑장대응을 지적했다.
그는 “북한이 언제부터 엄포를 놓았는데 아직도 ‘검토 중’인가”라고 되물으며 “세종시 수정은 전광석화처럼 밀어붙이는 정권이 북한의 도발에는 검토만 하는가”라고 비판했다.
그는 “북한으로 인해 우리가 겪어야 했던 현대사의 슬픈 곡절과 짙은 음영을 더 이상 우리 후손에 넘겨줘서는 안 된다”라며 “명백히 영토침범 아닌가. 북한의 도발에는 강력한 응징만이 묘약 중의 묘약이니 강력히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촉구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