柳 "이길 확률 30%만 돼도 경선방식 받아들이겠다"
金 "항상 자기에게 유리한 쪽 이야기 하는 것" 비난
[시민일보] 경기도지사 민주당 후보인 김진표 최고위원이 최근 유시민 전 장관의 단일화 방식 발언에 대해 “항상 자기에게 유리한 쪽을 이야기 하는 것”이라며 꼬집어 비판했다.
김진표 최고위원은 30일 오전 SBS라디오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유시민 전 장관이 단일화 방식과 관련, ‘두 사람간의 경선에서 자기가 이길 확률이 30%만 돼도 경선방식을 받아들일 의향이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해 이같이 받아쳤다.
김 최고위원은 “이것은 본인에게 유리한 일종의 여론전의 하나”라며 “그럼 벌써 시민단체에서 내놓았던 중재안을 거부할 리가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런 저런 면을 다 고려한 협의안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후보등록 이후라도 지지층이 최고수준으로 결집된 다음 단일화를 해도 좋다’는 유 전 장관의 주장에 대해 “지금 MB 정부 심판과 경기도정의 심판을 위해서는 반드시 단일화를 이뤄내야 한다는 도민들의 요구가 워낙 강하고, 또 그것이 확실히 승리를 담보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12일 이전에 단일화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라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소위 유시민 펀드를 쓰기 시작하면 그것을 상환할 재원 마련을 위해서도 끝까지 가야 한다는 부담이 있을 것”이라며 “그래서 현실적으로 등록을 하고 나면 이미 많은 선거비용을 쓰기 때문에 단일화하 사실 어려워지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당내에서도 단일화에 반대하는 의견이 아주 많고, 심지어는 유 후보가 사퇴해야 한다는 주장도 많았지만 중요한 것은 국민과 경기도민의 뜻을 받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최고위원은 자신의 의원직 사퇴와 관련해서는 “본래 경기도지사 후보로 나가겠다고 결심했을 때부터 당연히 현행 선거법상 국회의원직은 버려야 한다, 양립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며 “어쨌든 5월12일 가면 다 사퇴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국회의원으로서 국민 앞에서 발언할 기회가 있으니까 그것을 언제까지 행사할 것이냐를 생각했던 것”이라며 “제가 선거전을 이끌어나가는 리더로서 분명하고 단호한 결의를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의원직을 사퇴한 것”이라고 밝혔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金 "항상 자기에게 유리한 쪽 이야기 하는 것" 비난
[시민일보] 경기도지사 민주당 후보인 김진표 최고위원이 최근 유시민 전 장관의 단일화 방식 발언에 대해 “항상 자기에게 유리한 쪽을 이야기 하는 것”이라며 꼬집어 비판했다.
김진표 최고위원은 30일 오전 SBS라디오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유시민 전 장관이 단일화 방식과 관련, ‘두 사람간의 경선에서 자기가 이길 확률이 30%만 돼도 경선방식을 받아들일 의향이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해 이같이 받아쳤다.
김 최고위원은 “이것은 본인에게 유리한 일종의 여론전의 하나”라며 “그럼 벌써 시민단체에서 내놓았던 중재안을 거부할 리가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런 저런 면을 다 고려한 협의안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후보등록 이후라도 지지층이 최고수준으로 결집된 다음 단일화를 해도 좋다’는 유 전 장관의 주장에 대해 “지금 MB 정부 심판과 경기도정의 심판을 위해서는 반드시 단일화를 이뤄내야 한다는 도민들의 요구가 워낙 강하고, 또 그것이 확실히 승리를 담보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12일 이전에 단일화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라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소위 유시민 펀드를 쓰기 시작하면 그것을 상환할 재원 마련을 위해서도 끝까지 가야 한다는 부담이 있을 것”이라며 “그래서 현실적으로 등록을 하고 나면 이미 많은 선거비용을 쓰기 때문에 단일화하 사실 어려워지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당내에서도 단일화에 반대하는 의견이 아주 많고, 심지어는 유 후보가 사퇴해야 한다는 주장도 많았지만 중요한 것은 국민과 경기도민의 뜻을 받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최고위원은 자신의 의원직 사퇴와 관련해서는 “본래 경기도지사 후보로 나가겠다고 결심했을 때부터 당연히 현행 선거법상 국회의원직은 버려야 한다, 양립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며 “어쨌든 5월12일 가면 다 사퇴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국회의원으로서 국민 앞에서 발언할 기회가 있으니까 그것을 언제까지 행사할 것이냐를 생각했던 것”이라며 “제가 선거전을 이끌어나가는 리더로서 분명하고 단호한 결의를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의원직을 사퇴한 것”이라고 밝혔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