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천안함 사건과 관련, 유엔 안보리의 제재 방안 도출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박선원 전 청와대 통일안보전략비서관이 “민군합동조사단 조사 결과는 다국적 조사 결과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박선원 전 비서관은 7일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국제 전문가가 포함된 민군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가 유엔을 설득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는 질문에 “해외에서 온 국제적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나 엄밀히 말하면 한국 정부의 조사 결과지 다국적 조사 결과는 아니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박 전 비서관은 “국제적 전문가들은 이것에 대해 기술적 자문만 한 것이기 때문에 철저히 한국의 독자적인 조사결과로 평가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호주, 스웨덴, 인도네시아, 미국에서 전문가들이 와서 한국의 민군합동조사단의 활동을 기술적으로 지원을 한 것이지 5개국 공동 조사의 결과는 아니다”라며 “이 조사에 대한 책임, 그리고 이 조사 과정에 대한 진행 모든 것은 한국의 민군합동조사단이 했기 때문에 그 내용 전체에 대한 입증의 부담도 한국이 져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천안함의 폭발시점’, ‘어뢰와 선체에서 발견된 흡착제가 폭약이 아닐 가능성’, ‘TOD영상에서의 폭발 시점’ 등이 불일치하다는 점을 들며 “이래서는 유엔을 설득하기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박선원 전 비서관은 7일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국제 전문가가 포함된 민군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가 유엔을 설득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는 질문에 “해외에서 온 국제적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나 엄밀히 말하면 한국 정부의 조사 결과지 다국적 조사 결과는 아니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박 전 비서관은 “국제적 전문가들은 이것에 대해 기술적 자문만 한 것이기 때문에 철저히 한국의 독자적인 조사결과로 평가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호주, 스웨덴, 인도네시아, 미국에서 전문가들이 와서 한국의 민군합동조사단의 활동을 기술적으로 지원을 한 것이지 5개국 공동 조사의 결과는 아니다”라며 “이 조사에 대한 책임, 그리고 이 조사 과정에 대한 진행 모든 것은 한국의 민군합동조사단이 했기 때문에 그 내용 전체에 대한 입증의 부담도 한국이 져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천안함의 폭발시점’, ‘어뢰와 선체에서 발견된 흡착제가 폭약이 아닐 가능성’, ‘TOD영상에서의 폭발 시점’ 등이 불일치하다는 점을 들며 “이래서는 유엔을 설득하기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