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이인규 전 대검 중수부장의 노무현 전 대통령 차명계좌 발언과 관련, 한나라당 주성영 의원이 “대검 중수부장까지 지낸 분이니 액면그대로 받아 해석을 하는 게 옳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회 법사위원회 한나라당 간사인 주 의원은 7일 오전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인규 전 중수부장이 기자들과의 술자리에서 ‘조현오 청장의 차명계좌 발언은 틀린 말도 맞는 말도 아니다’라고 말한 것에 대해 “취중발언이라는 게 취중이라 진심이 나올 수도 있고 과장될 수도 있는데 과거에 대검 공안부장을 지냈던 진형구씨의 조폐공사 파업유도 사건은 취중이었는데 진심을 얘기한 것으로 밝혀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진실일 가능성에 더 무게가 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그 분이 차명계좌라고 하긴 그렇지만 실제로 이상한 돈의 흐름이 나왔다면 틀린 것은 아닐 것”이라며 “그 사람(이인규 전 중수부장)은 이상한 돈의 흐름은 있다는 얘기를 한 것으로 봐야 되지 않겠나”라고 밝혔다.
그는 “이 전 부장이 얘기했지만 차명계좌라는 개념은 법적으로 좀 애매모호한 점이 있다”며 “그런데 여하튼 이상한 돈의 흐름이 발견됐다고 했고, 전체 발언의 취지로 볼 때는 그게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연결돼 있다고 받아들여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전 부장의 국감증인 출석에 대해서는 “(이 전 부장이)고 노무현 대통령하고 권양숙 여사, 박연차 회장하고 밥 먹으면서 권양숙 여사가 실제적으로 돈을 요구해 10억원을 마련했다는 얘기까지 했는데 이것은 국회에 나오겠다는 얘기 아닌가”라며 “국정감사에서 당연히 증인으로 불러야 된다고 보고 본인도 나올 의사를 얘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주 의원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민주당 간사인 박영선 의원은 “이 전 부장의 발언은 검찰에서 진실여부를 가리기 위해 인지수사를 해야 될 것”이라며 반박했다.
박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분 발언이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으며 과장될 수도 있고 왜곡될 수도 있다”며 “그래서 이 분 발언은 반드시 수사가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전 중수부장의 발언이 이게 첫 번째가 아니고 두 번째다. 김태호 총리 인사청문회의 증인으로 채택이 됐을 때도 동일한 신문의 기자에게 마치 국회에 나와 폭발적 발언을 할 것처럼 기사화된 적이 있는데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서는 어제는 여야가 다 원치 않아서(인사청문회에 나가지 않았다)라고 말했는데 여당은 잘 모르겠지만 야당은 그런 적 없다”며 “이런 점에서 봤을 때 이 분의 발언, 보도된 내용은 수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이와 관련, 한 언론사의 보도에 대해 “마치 제목을 ‘야당은 비밀누설을 수사하라, 한나라당은 차명계좌를 밝혀라’라고 해서 저희가 이 사람 이야기한 것을 사실로 인정하고 그 말에 대해 책임을 지라는 뜻의 발언을 한 것처럼 제목을 뽑았는데 진위는 그런데 있는 게 아니다”라며 “검찰에서는 누가 국회청문회에 못 나가게 했는지를 수사해야 될 의무가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국회 법사위원회 한나라당 간사인 주 의원은 7일 오전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인규 전 중수부장이 기자들과의 술자리에서 ‘조현오 청장의 차명계좌 발언은 틀린 말도 맞는 말도 아니다’라고 말한 것에 대해 “취중발언이라는 게 취중이라 진심이 나올 수도 있고 과장될 수도 있는데 과거에 대검 공안부장을 지냈던 진형구씨의 조폐공사 파업유도 사건은 취중이었는데 진심을 얘기한 것으로 밝혀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진실일 가능성에 더 무게가 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그 분이 차명계좌라고 하긴 그렇지만 실제로 이상한 돈의 흐름이 나왔다면 틀린 것은 아닐 것”이라며 “그 사람(이인규 전 중수부장)은 이상한 돈의 흐름은 있다는 얘기를 한 것으로 봐야 되지 않겠나”라고 밝혔다.
그는 “이 전 부장이 얘기했지만 차명계좌라는 개념은 법적으로 좀 애매모호한 점이 있다”며 “그런데 여하튼 이상한 돈의 흐름이 발견됐다고 했고, 전체 발언의 취지로 볼 때는 그게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연결돼 있다고 받아들여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전 부장의 국감증인 출석에 대해서는 “(이 전 부장이)고 노무현 대통령하고 권양숙 여사, 박연차 회장하고 밥 먹으면서 권양숙 여사가 실제적으로 돈을 요구해 10억원을 마련했다는 얘기까지 했는데 이것은 국회에 나오겠다는 얘기 아닌가”라며 “국정감사에서 당연히 증인으로 불러야 된다고 보고 본인도 나올 의사를 얘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주 의원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민주당 간사인 박영선 의원은 “이 전 부장의 발언은 검찰에서 진실여부를 가리기 위해 인지수사를 해야 될 것”이라며 반박했다.
박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분 발언이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으며 과장될 수도 있고 왜곡될 수도 있다”며 “그래서 이 분 발언은 반드시 수사가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전 중수부장의 발언이 이게 첫 번째가 아니고 두 번째다. 김태호 총리 인사청문회의 증인으로 채택이 됐을 때도 동일한 신문의 기자에게 마치 국회에 나와 폭발적 발언을 할 것처럼 기사화된 적이 있는데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서는 어제는 여야가 다 원치 않아서(인사청문회에 나가지 않았다)라고 말했는데 여당은 잘 모르겠지만 야당은 그런 적 없다”며 “이런 점에서 봤을 때 이 분의 발언, 보도된 내용은 수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이와 관련, 한 언론사의 보도에 대해 “마치 제목을 ‘야당은 비밀누설을 수사하라, 한나라당은 차명계좌를 밝혀라’라고 해서 저희가 이 사람 이야기한 것을 사실로 인정하고 그 말에 대해 책임을 지라는 뜻의 발언을 한 것처럼 제목을 뽑았는데 진위는 그런데 있는 게 아니다”라며 “검찰에서는 누가 국회청문회에 못 나가게 했는지를 수사해야 될 의무가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