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한나라당 남경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이 대북 쌀지원 문제에 대해 “되도록 많이 하는 게 좋을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남 위원장은 9일 오전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저는 경색 국면에서도 계속해서 인도적 지원, 특히 쌀의 지원은 필요하다는 얘기를 지속적으로 해 왔다”면서 “모니터링 부분도 북한은 정부가 검증하는 것은 부담스럽지만 시민사회 단체, 국제기구 등이 검증하는 것은 충실히 받겠다는 입장을 밝혀오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정부 차원의 대규모 (쌀)지원은 어렵다고 하는데 그건 정부 입장에서 이해가 간다”면서도 “그러나 국회는 이것을 촉구하면서 조금씩 문을 열어가는 단계로 진입할 것이고 조만간 어떤 형식으로든 정부가 직접 하든 인도적 단체들을 통해서 하든 조금 시작하지만 규모를 늘려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장비, 시멘트 등의 지원과 관련해서는 “(통일부장관은)중장비 지원과 시멘트 지원 요청이 순수한 것이냐, 정말 수해복구를 위한 것이냐에 대한 정보 판단을 하는 것 같은데 그건 중요하다”면서도 “그러나 중장비를 엄청나게 갖다 주거나 시멘트를 엄청 갖다 주는 게 아니라면 이것도 대승적 판단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것 역시도 제대로 쓰이는 지에 대한 모니터링 하는 방식을 고민하고 거꾸로 중장비에 우리 인력까지 지원을 같이 한다면 마음대로 전용할 수 없는 방법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그는 개최를 앞두고 있는 북한 노동당 대표자 회의와 관련해서는 “김정은으로의 후계구도가 본격화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북한 주민들의 고통이 극에 달하고 있고 한미 대북 압박도 상당히 진행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특히 6자회담을 고리로 하고 남북관계에 있어서는 인도적 지원을 고리로 해서 대화로 나설 준비를 하고 있는게 아닌가, 그 쪽에 더 무게를 싣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6자회담과 관련해서는 “미국, 중국이 지금 최고위급 인사들 교류를 하고 있는데 조만간 6자회담 재개를 위한 가시적인 노력들과 성과들이 나올 것”이라며 “아마 6자회담은 조만간 재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남 위원장은 9일 오전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저는 경색 국면에서도 계속해서 인도적 지원, 특히 쌀의 지원은 필요하다는 얘기를 지속적으로 해 왔다”면서 “모니터링 부분도 북한은 정부가 검증하는 것은 부담스럽지만 시민사회 단체, 국제기구 등이 검증하는 것은 충실히 받겠다는 입장을 밝혀오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정부 차원의 대규모 (쌀)지원은 어렵다고 하는데 그건 정부 입장에서 이해가 간다”면서도 “그러나 국회는 이것을 촉구하면서 조금씩 문을 열어가는 단계로 진입할 것이고 조만간 어떤 형식으로든 정부가 직접 하든 인도적 단체들을 통해서 하든 조금 시작하지만 규모를 늘려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장비, 시멘트 등의 지원과 관련해서는 “(통일부장관은)중장비 지원과 시멘트 지원 요청이 순수한 것이냐, 정말 수해복구를 위한 것이냐에 대한 정보 판단을 하는 것 같은데 그건 중요하다”면서도 “그러나 중장비를 엄청나게 갖다 주거나 시멘트를 엄청 갖다 주는 게 아니라면 이것도 대승적 판단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것 역시도 제대로 쓰이는 지에 대한 모니터링 하는 방식을 고민하고 거꾸로 중장비에 우리 인력까지 지원을 같이 한다면 마음대로 전용할 수 없는 방법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그는 개최를 앞두고 있는 북한 노동당 대표자 회의와 관련해서는 “김정은으로의 후계구도가 본격화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북한 주민들의 고통이 극에 달하고 있고 한미 대북 압박도 상당히 진행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특히 6자회담을 고리로 하고 남북관계에 있어서는 인도적 지원을 고리로 해서 대화로 나설 준비를 하고 있는게 아닌가, 그 쪽에 더 무게를 싣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6자회담과 관련해서는 “미국, 중국이 지금 최고위급 인사들 교류를 하고 있는데 조만간 6자회담 재개를 위한 가시적인 노력들과 성과들이 나올 것”이라며 “아마 6자회담은 조만간 재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