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혹 커지는 김황식 총리후보자 인사청문회 전운 감돌아

    정치 / 전용혁 기자 / 2010-09-27 14:33:11
    • 카카오톡 보내기
    민주당 '공격 채비' 한나라 '철통 수비'
    野 "봐주기식 청문회는 생각 안해… 원칙에 입각해 임할 것"
    與 "조그만 의혹 부풀려 국민에 잘못된 정보제공 옳지 않아"

    [시민일보] 김황식 국무총리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잇따른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철저한 검증을 예고하고 있는 반면 여당은 의혹 부풀리기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국회 인사청문특위 민주당 간사인 김유정 의원은 27일 오전 SBS라디오 ‘서두원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김황식 후보자에 대해 현재는 적격, 부적격이라고 말 할 수 없지만 우리는 원칙에 입각해서 임할 것이고 이것은 야당의 책무”라며 “봐주기식 청문회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의원은 “여야가 29~30일로 기간을 잡은 것은 정부측에서 충분히 자료 제출에 협조를 하고 차질 없도록 준비하겠다는 기본전제가 있었는데 전혀 그것이 실천에 옮겨지지 않고 있다”며 “일단 기제출된 청문회 관련 후보자 인적사항 등 여러 가지 자료를 토대로 해서 면밀히 파고 파헤칠 것이고 어떤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문제가 붉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검증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김 후보자의 병역면제 의혹에 대해서는 “감사원장 청문회 당시에도 이 부분에 대한 후보자의 해명이 있었지만 명확히 해소가 되지 않았다. 그래서 지금 새롭게 의혹들이 붉어져 나오는 것”이라며 “병역 관련해서 인사청문회 위원들이 요구한 자료가 단 한 건도 제출이 안 되고 있는데, 진료기록 등의 핵심자료들을 먼저 제출하시는 게 우선일 것”이라고 자료 제출을 촉구했다.

    그는 은진수 감사원 감사위원의 증인 채택 문제와 관련, “출석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은진수 감사위원과 관련해서는 4대강 사업과 관련해서 많은 의혹을 받고 있고 감사가 감사가 끝났음에도 몇 달 동안 이런 저런 이유로 발표를 미루고 있기 때문에 이번 기회를 통해 그 내용이나 김황식 후보자의 입장을 철저하게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인사청문특위 한나라당 간사인 김기현 의원은 “조그마한 의혹을 크게 부풀려 국민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야당을 비판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민주당이 여러 가지 제시하고 있는 의혹들은 억지 의혹이나 침소봉대형 의혹 부풀리기들이 많다”며 “이런 정치적 공세는 구세 정치의 전형으로써 공정한 사회 이념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있는 사실 자체는 명확하게 밝혀서 가감 없이 국민들에게 드러내고 국민들로부터 심판을 받도록 해야 하는 것이 맞지만 없는 의혹을 부풀리는 것은 옳지 않다”고 경고했다.

    그는 병역 문제, 동신대 특혜지원 등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이 사안을 보니 국가 자금을 한 것도 아니고 민간 통신 회사가 돈을 1000억원 기금 조성해서 전국을 4개 분지로 나눠 250억씩 지원했던 것이고 그 선정을 최종 결정한 분이 지금 의혹을 제기 했다는 이용경 의원”이라며 “특혜를 줬다면 본인이 특혜를 줬는지 모르겠는데 이걸 왜 후보자에게나 혹은 현 정부에게 잘못이 있는 것처럼 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병역 문제에 대해서는 “어떤 이유로든 병역을 피했다는 건 바람직하지 않았고 고위 공직에 진출을 하려면 병역을 마쳤으면 좋았을 것”이라면서도 “진료기록 등의 자료를 곧 제출할 것이라고 하는데 자료를 보면 정말 부동시가 있는지 없는 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짐작해서 의혹을 부풀리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증인채택 문제에 대해서는 “야당측에서는 터무니없는 증인을 신청해서 정치 공세를 하려는 것 때문에 굉장히 곤혹스러웠다”며 은진수 감사위원에 대해 “특히 현재 감사가 진행 중인 사안에서의 감사위원을 증인으로 선정하는 것은 헌법과 감사원법에 보장돼 있는 감사원의 정치적 중립성이나 독립성을 직접적으로 훼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부득이 증인을 채택하는데 합의를 했지만 이와 같은 형태의 헌법과 감사원법의 정해진 취지를 몰각하는 행위는 앞으로 없어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