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의 매몰처리로 인한 심각한 환경재앙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이만의 환경부장관이 내달 4일까지 모든 매몰지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만의 장관은 11일 오전 SBS라디오 ‘서두원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를 통해 “예전에는 이처럼 크게 구제역에 시달리거나 매몰과 같은 사례가 없었기 때문에 이번 구제역에 대해 문제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며 “정부 차원에서 14일까지 경기도, 강원도 지역에 한강과 연결된 97개의 매몰지에 대해 조사를 하고, 이달 21일부터 3월4일까지 전국 4100여개 남은 매몰지에 대해서도 전부 전수조사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그러면서 구제역 사태에 따른 환경피해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적게는 열 몇 마리에서부터 많게는 수천마리의 소나 돼지를 한 공간에 묻었는데 그렇게 되면 동물 사체이기 때문에 결국 썩어갈 것”이라며 “돼지 같은 경우 안락사 주사를 놓더라도 빨리 숨이 안 끊어지면 묻히는 과정에서 비닐도 찢을 수 있다. 이런 경우 동물 사체가 부식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침출수가 새어나가면 토양 오염, 지하수 오염이 돼서 가장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비가 많이 올 경우 매몰지에 비가 스며들어서 안에 빗물이 차게 되면 그 안에 침출수가 넘치게 되는데, 경사가 심하다든지, 밑에서 일부 물이 나는 곳도 있다”며 “이번 전수조사를 하면 그와 같이 유실되거나 빗물이 스며들어서 넘치게 되거나 또는 새어서 침출수가 토양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곳에 대해 특별한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수조사 후 실제 대책 집행은 너무 늦어지는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이 장관은 “대책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먹는 물인데, 상수시설은 우선순위를 두고 서둘러서 할 것”이라며 “만일 독립된 농가가 산길이나 깊은 곳에 따로 있는 경우에는 오염 우려가 없는 산속의 계곡물을 이용한 간이 상수시설이나 생수를 공급해 먹는 물 문제를 해결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지하수가 오염이 되면 굳이 그 지역 뿐이 아니고 다른 지역에서도 지하수를 뽑아서 음용하는 경우가 시골엔 많기 때문에 그러한 폐해를 막기 위해 철저하게 침출수 관리를 할 것”이라며 “봄에는 사후관리 차원에서 복토도 하고 빗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지형조건에 맞게 빗물 배제 시스템을 보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