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올해부터 정부기관내 탄력적인 인력운영을 위해 도입된 유동정원제가 전 부처로 확대되고 부처간 칸막이 해소를 위한 융합행정체제도 한층 강화된다.
행정안전부는 15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11년도 정부조직관리지침'을 확정하고 국무총리 승인을 거쳐 각 부처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행안부가 이날 밝힌 올해 정부조직·인력운영 방향을 보면 정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작고 효율적인 정부' 기조를 유지키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친서민·생활안전·자원외교 등 국정핵심 분야의 추진체계는 중점 보강하되 기능이 쇠퇴한 분야의 인력을 우선 발굴해 전환·재배치토록 했다.
이와함께 유동정원제가 전체 기관으로 확대·시행된다.
부서별 정원의 일부를 유동정원으로 지정, 주요 국정현안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이 제도는 지난해 행정안전부 등 12개 부처에서 시행됐다.
올해에는 필요한 경우 본부와 소속기관간에도 인력을 상호이체·활용이 가능토록 해 각 부처에서 긴급현안에 더욱 더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또 각 정부부처가 직제를 개정할 경우 기능 축소분야를 의무적으로 발굴하는 등 부처 자체 조직진단 실시가 제도화되고 그 진단결과는 조직관리와 연계돼 활용된다.
지난해 기상·강우 레이더정보 공동활용, 출소예정자의 취·창업 공동지원 제도에 이어 올해에도 저소득층·다문화가족 지원 등 중점 분야를 선정, 각 부처의 협력체계를 강화토록 했다.
정부는 특히 정부보다 민간에서 수행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기능을 발굴하고 전시와 연구 등 부속기관 신설시에는 법인 설립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검토토록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