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장은 21일 BBS라디오 ‘전경윤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가까운 중국에서 26개의 신규 원전 중 안전 규제가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보류하겠다고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고, 독일도 가동 중인 17개 중 수명이 오래된 7개는 바로 가동 중단에 들어갔다”며 “발 빠른 행동들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양 국장은 “지금 가동 중인 원전이 21개이고 건설계획 중인 것이 13개 인데, 가동 중인 것 중 수명이 다 돼서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그래서 수명 연장을 했거나 시도하고 있는 우리 1호기와 월성 1호기나 2호기 경우는 실제로 (중단을)하는 게 맞고, 가동 중인 원전은 내진 설계를 더 강화시키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그는 원전 건설 계획에 대해서는 “시간이 지나게 되면 사용핵연료라는 게 있는데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관하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계속 원전을 늘리는 것은 지금은 비용이 적게 든다고 말하지만 나중에 비용이 많이 들고 위험이 더 높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나라 원전산업의 문제점 중 하나가 비밀주의에 있다”고 꼬집으며 원전 점검에 민간의 실질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리 1호기 수명 연장을 했을 때도 안전성 평가보고서가 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공개되고 있지 않다”며 “이게 전문가의 영역이라고 하는데 문제가 생겼을 때 지역 주민은 물론, 우리나라 전체에 문제를 끼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전문가들만의 영역이 아니고, 정부의 영역만도 아니다. 그 피해는 우리 모두의 책임이고 앉을 수밖에 없다”며 “교과부에서 총체적인 안전점검에 들어간다고 말을 할 때 전문가들만이 아니라 시민단체 대표라든지 국회의원, 지역 주민들도 충분히 정보가 공개가 된 상태에서 참여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