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1910년 한일합병 국치조약과 1965년 한일협정을 무효로 하기 위해 발족한 ‘한일협정 무효화를 위한 국민행동 준비위원회’가 박근혜 전 대표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이부영 위원회 상임대표가 “전혀 결부시킬 일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이 상임대표는 18일 오전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은 시각에 대해 “1965년 계엄령을 통해 무자비한 탄압으로 체결됐고, 30년 가까이 군사 정권이 계속되면서 한일협정의 ‘한’자도 꺼낼 수 없었다. 기정사실화가 됐단 것”이라며 “지난 8월30일 헌법재판소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기본권 침해 사태를 우리 정부가 방치한 것은 헌법 위반이라는 결정을 내렸는데 그런 결정에 근거해 한일협정과 관련된 문제들을 재협상을 통해 풀어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역사적 문제를 왜 박근혜 대표와 연관짓느냐 이 말인데, 그런 시각이야말로 정말 불순한 의도가 있는 게 아닌라”라며 “이런 정당한 역사적 요구를 다시 짓눌러버리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그는 지금 시기에 이 문제를 제기하는 이유에 대해 “2010년 대한제국을 일제가 강제 병합한 100년째 되는 해였는데, 지난 해에는 을사조약과 경술국치, 한일 병합 조약이 원인 무효라고 주장한 한일 지식인 공동선언도 있었다”며 “지난 6월22일에는 민주 평화 복지 포럼이라는 단체에서 ‘한일협정 대해부’라는 학술대회가 있었는데 거기서 2012년을 한일협정 재협상을 공론으로 올려 세워보자는 공론이 일어났던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내년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가 있는데, 한일협정이 독도 영유권을 불분명하게 내버려둬서 일본이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주장하게 만들었다. 위안부 피해자들, 원폭 피해자들 모든 피해자들의 배상권을 포기했고, 문화재 반환도 포기했다”며 “내년 선거에 나서는 정치인들에게 이렇게 굴욕적이고 매국적인 한일협정 재협상해야 되는 것 아니냐는 요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