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지난 2010년 국무총리실 민간인 불법사찰 수사 당시 청와대가 관련 증거를 없애라고 지시했다는 새로운 증언이 나오면서 거센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
자신의 블로그에 정부비판 동영상을 올린 중소기업 대표 김종익씨를 국무총리실 산하 공직윤리지원관실에서 사찰했고, 이후 검찰은 이 사찰이 총리실의 단독 범행이라고 결론을 내렸으나 최근 청와대가 직접 하드디스크 파괴를 지시했다는 증언이 당시 총리실에서 근무했던 장진수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을 통해 나온 것이다.
이에 대해 민주통합당 박영선 최고위원은 6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 사건의 가장 윗선은 누구라고 추정하는가’라는 질문에 “장진수 주무관의 증언대로라면 그 당시 검찰의 수사라인에 대해 되짚어 볼 필요가 있는데, 검찰의 수사라인은 당시 민정수석이 권재진 현 법무부장관”이라며 “증언이 사실이라면 도의적인 책임은 반드시 물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정수석 밑에 있었던 민정수석 비서관이 있고, 권재진 민정수석과 민정수석 비서관, 검찰과 누가 연락을 했냐는 의문이 또 생기는데, 그 당시 수사라인을 보면 서울지검의 노환균 지검장 시절이었고, 신경식 차장으로 이어지는 수사라인이 형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들은 PK(부산ㆍ경남)출신인데, 당시 그랜저 검사사건 등 각종 의혹사건들이 많이 불거졌는데 그 사건의 대부분이 꼬리자르기로 끝났고, 몸통이 밝혀진 것이 거의 없어서 검찰 수사가 PK라인에 의해 축소, 은폐되는 것 아닌가 하는 많은 의혹을 자아냈던 그런 시절”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것은 반드시 특검까지 가야 되고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된다”며 “증언대로라면 청와대가 증거 인멸을 지시하고 그 증거 인멸 지시할 시간을 검찰이 벌어준 것이다. 당시 압수수색이 상당히 늦었는데 이 압수수색이 늦은 것에 대해 당시 이귀남 법무부장관이 국회 답변에서 이 사건은 압수수색이 늦었다는 점에서 실패한 부분이 있다고 밝힌 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