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새누리당이 19대 총선 공천 발표 이후 후폭풍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신율 명지대 교수가 “이번 공천은 친이계의 기둥만 살려놓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치평론가인 신 교수는 7일 오전 YTN 라디오 <강지원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일부에서는 지금 서울 수도권만 공천이 됐기 때문에 서울 수도권에는 친이계들이 대거 포진해있어서 물갈이하려니까 친이계가 많아 보이는 것이라고 하는데 그 얘기도 맞지만 친이계에 대해 상당히 많이 쳐낸다는 인상을 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영남권에는 원래 친박이 많은데, 거기서 몇 명을 쳐냈다고 해서 공평하게 했다고 얘기하면 설득력이 그다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미리 나와 있는 정태근, 김성식 의원 등이 어떻게 힘을 보태느냐에 따라 상황은 상당히 달라질 것”이라며 “이 사람들이 세를 갖춘 다음 국민생각 등의 정당과 통합을 하거나 하면 나름대로의 득표력이나 파괴력이 있을 수 있을 것”고 내다봤다.
그는 “(이번 공천으로)친이계들이 대부분 (당을)나올 것인데, 그러면 친이계들이 어떤 성격인가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며 “친이계는 뿌리까지 내려가 민주당의 성격이 강하고, 친박계는 신한국당 시절부터 있어 민정계적 성격이 강하다. 지역적으로 보면 친박계는 TK 보수이고, 친이계는 서울 수도권 보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친이계는 과거 민국당 시절 얘기를 많이 하는데, 최근 탈당한 사람들, 공천 못 받은 사람들은 민국당과는 정 반대”라며 “이번에는 의미상으로 볼 때 다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물갈이에 대한 반발이 일어나는 건 당연한 거지만 어떤 기준을 가지고 누가 봐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기준을 적용했으니까 할 수 없다, 본인이야 반발할지 모르지만 여론이 그렇게 생각해야 되는데, 문제는 지금 여론이 그렇게 생각을 안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것은 민주통합당과 새누리당 모두의 문제이고, 현 당의 권력 구조를 반영한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지만 그런 권력구조를 반영하더라도 객관성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얘기를 들을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