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최근 신고리1호기와 영광5호기 등 원전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양이원영 한경운동연합 탈핵에너지국장이 “수의계약으로 부품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12일 오전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부품 수급’ 문제에 대해 “경쟁입찰하는 관계보다도 수의계약이라고 보는 게 맞고, 안전문제 때문에 한 번 계약하고 나면 변경하지 않는다. 그렇다보니 그 과정에서 로비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국산화라는 명목으로 정부 정책에서 한국총원전이라고 얘기하면서 관련 부품, 핵연료봉 이런 것들을 다 국산화시키는 과정을 중요한 정책적 방향으로 삼고 있는데 그러다보니 국제적인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부품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고, 그러면서 우리가 예상하지 못하는 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부품을)조달할 때 제대로 검증이 돼야 하는 건데 수시로 이게 검증이 되면서 경쟁이 되면 좋겠지만 제대로 공개가 되지 않으면서 한 번 계약을 맺으면 그게 계속 간다”며 “그와 관련해서 비리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영광5호기의 고장 원인이 통신카드 고장이라고 밝혀진 것에 대해서는 “잘 이해되지 않는다”며 “영광5호기는 냉각제 펌프계통의 문제라고 처음 얘기했었는데 통신카드가 문제라면 어쨌든 그게 중앙제어실에서의 커뮤니케이션상의 문제가 될 수 있는 것 아닌가. 그런 걸로도 문제는 종지가 될 수도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고리 원자력본부 직원들의 필로폰 투약 사건에 대해 “일부 직원이 투여됐다고 하면 과연 그 사람들만으로 끝났을까, 검찰의 조사 결과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재난방지 쪽 안전점검을 하는 직원들이 마약을 투여했다는 것은 그 내부에서 도대체 어떤 문화가 있길래 이런 것까지 진행되는지 이해하기 굉장히 어려웠다”고 비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