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 '금고지기' 고 모 상무 소환

    사건/사고 / 민장홍 기자 / 2013-10-15 18:06:17
    • 카카오톡 보내기
    검찰 탈세·분식회계 수법과 규모·임직원 역할등 추궁

    [시민일보]검찰이 탈세 의혹을 받고 있는 효성그룹의 임직원에 대한 소환 조사에 들어가면서 수사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윤대진)는 지난 14일 총수 일가의 개인재산 관리에 깊이 관여한 고 모(54) 상무와 그룹 경영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 2~3명를 소환했다.


    또 탈세, 분식회계 등과 관련된 구체적인 물증을 잡기 위해 회계장부, 재무자료 등의 관련 압수물과 국세청 세무자료를 집중 분석했다.


    고 상무는 12년간 회장 비서실 기획담당 임원을 지내면서 조석래(78) 회장의 차명재산 관리와 비자금 조성 등에 개입한 의혹이 짙어 핵심 인물로 분류되며 지난 11일 검찰이 압수수색할 당시 고 상무의 사무실이 포함되기도 했다.


    검찰은 이날 고 상무를 상대로 탈세·분식회계 수법과 규모, 조 회장 일가의 관련 지시 여부, 임직원의 구체적인 역할 등을 추궁했다.


    검찰은 효성그룹이 지난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대규모 사업 적자를 계열사에 떠넘기는 대신 매출이나 이익 규모를 축소 처리하는 등 1조원 상당의 분식회계로 법인세를 탈루한 의혹을 살펴보고 있다.


    조 회장이 90년대부터 임직원 명의로 1000억원대 차명 재산을 관리하면서 주식매매 차익 등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탈루하고, 효성캐피탈이 조 회장 일가와 임원 명의로 200억여원을 불법 대출해 준 의혹도 검찰이 면밀하게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중국, 일본, 미국, 홍콩 등 현지법인 명의로 국내 은행에서 차입한 수천만달러의 자금을 해외 페이퍼컴퍼니로 빼돌리는 방식으로 조 회장 일가가 역외탈세나 국외로 재산을 은닉했을 것으로 보고, 관련 단서를 찾는데도 주력하고 있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최근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조 회장과 장남 조현준(45) 사장, 차남 조현문(44) 전 부사장, 삼남 조현상(42) 부사장 명의로 된 금융거래 내역 제출을 요청했다.


    또 조 회장의 개인 재산관리인으로 알려진 고모(54) 상무가 정리한 분식회계 내용과 수법, 관련 보고서 형식의 문건 등이 담긴 USB 메모리를 입수, 압수물과 비교해가며 분석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중 조 회장 가족의 '금고지기'로 불리는 고 상무에 대해 조만간 재소환 여부를 결정하는 한편 최 모(59) 상무 등 다른 핵심 임원에 대해서도 차례로 소환을 통보할 계획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