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위기의식을 느낀 여권 내부에서 '중진 차출론’이 화두로 떠올랐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새누리당은 텃밭인 영남을 제외하곤 승리를 확신할 인재 찾기가 쉽지 않다. 한마디로 위기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박근혜정부 중반기 국정운영에 집권당이 힘을 실어주려면 무엇보다도 지방선거 성적이 매우 중요하다.
새누리당이 승리할 경우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장악력이 높아져 경제혁신과 공공기관 개혁을 보다 힘 있게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새누리당이 패배하면, ‘박근혜 심판론’으로 인해 정부는 무기력해지고, 결국 아무 일도 할 수 없게 된다.
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이 “6.4 지방선거가 대통령 선거의 완결편”이라고 주장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따라서 새누리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반드시 승리해야만 한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지방선거 최대의 승부처인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새누리당 후보들이 열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장 선거에서는 민주당 소속 박원순 시장이, 인천시장 선거에서는 민주당 소속 송영길 시장이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새누리당 예상 후보군들을 압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불출마의사를 밝힌 경기도지사 선거 역시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일찌감치 출마의사를 밝힌 민주당 소속 김진표 의원과 원혜영 의원이 새누리당 예상 후보군들보다 지지율이 훨씬 높게 나오고 있다.
서울과 경기, 인천에서 패배하면 설사 다른 곳에서 승리하더라도 지방선거는 사실상 패배한 것이나 다를 바 없다.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경쟁력 있는 의원들을 지방선거에 내보내야 한다는 ‘중진 차출론’이다.
실제 홍문종 사무총장이 최근 "여론조사나 매스컴에 의하면 현재 저희가 쉽게 이길 수 있는 지역이 별로 없다"며 “6.4 선거가 대통령 선거의 완결편이니까 우리 당의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서 선거를 치러달라는 주문이 많이 있다”고 ‘중진 차출’의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그러면서 홍문종 총장은 ‘선당후사(先黨後私)’ 정신을 강조했다. 개인의 이익보다 당을 먼저 생각해 달라는 뜻이다.
새누리당 상임고문단도 지난 7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새누리당 지도부와의 신년하례회에서 이구동성으로 “(홍문종 사무총장의)중진 차출론은 맞는 말”이라고 힘을 보탰다.
‘중진 차출론’의 대상으로는 서울시장 후보에 정몽준 의원, 경기도지사 후보에 남경필 의원, 인천시장 후보에 황우여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들이 출마할 경우 민주당 후보들보다 지지율이 앞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이들은 모두 손사래를 치고 있다.
당의 미래나 박근혜정부의 성공 따위는 아예 안중에도 없는 것 같다.
실제 인천시장 후보 차출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 황우여 대표는 7일 오후 YTN에 출연해 “저보다는 젊고 역동적인 분이 해주셔야 한다”며 출마할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아마도 후반기 국회의장에 대한 욕심 때문일 것이다.
서울시장 후보 차출대상인 정몽준 의원도 마찬가지다. 그는 최근 기자들과 만난자리에서 서울시장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물론 차기 대권 욕심 때문이다.
실제 정몽준 의원의 측근은 "6월 지방선거에 나가지 않는 것은 확실하다. 이미 차기 대선을 향해 뛰고 있었고 앞으로도 그 길을 갈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남경필 의원 역시 다를 바 없다.
남 의원은 원내대표 출마를 위해 경기도지사 출마를 고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결국 후반기 국회의장과 차기 대권, 원내대표라는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당이야 지방선거에서 패하든 말든 내 알바 아니라는 것 아니겠는가.
이런 모습을 지켜보는 새누리당 의원들과 당원들의 심정은 어떨까?
과연 사적이익을 위해 당을 나몰라하고 팽개치는 그들을 그래도 국회의장, 대통령 후보, 원내대표로 밀어줄 생각이 들까?
장담하건데 그런 모습으로는 결코 국회의장도, 차기 대통령 후보도, 원내대표도 되기 어려울 것이다.
황우여 대표와 정몽준, 남경필 의원은 선당후사 정신으로 ‘분당대첩’에 뛰어들었던 민주당 손학규 상임고문으로부터 정치란 그렇게 하는 것이란 걸 한 수 배우길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