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정부부처의 세종특별자치시 이전 마지막 3단계 작업이 12∼26일 실시된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행정 중심도시로 확실히 자리매김하게 됐다.
3단계로 이전하는 부처는 법제처와 국민권익위원회, 국세청, 우정사업본부, 한국정책방송(KTV) 등 5개 기관이다. 인원은 2292명이다.
정부는 11일 정부세종청사 제2공용브리핑실에서 조경규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 최두영 행정자치부 기조실장, 이충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3단계 중앙행정기관 등 이전 관련 브리핑을 갖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5개 중앙행정기관의 3단계 세종시 이전은 12일부터 26일까지 15일간 진행된다. 3단계 세종시 이전기관은 법제처, 국민권익위원회, 국세청, 우정사업본부, 한국정책방송원이며 이들 기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은 총 2292명이다.
또 지난달 28일부터 산업연구원을 시작으로 11개 정부출연 연구기관 2335명도 오는 28일까지 세종국책연구단지로 이전하게 된다.
이번 3단계 세종시 이전이 최종 마무리되면 36개 중앙행정기관 1만3002명의 공무원과 14개 정부출연 연구기관 3192명의 연구원들이 세종시에서 근무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정홍원 국무총리는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공공기관을 포함한 이전이 마무리되면 세종시는 총 50개 기관, 1만6000여명이 근무하는 명실상부한 행정중심도시가 된다"며 "세종청사 시대를 위한 물적 기반은 갖춰졌고 이제는 행정수도로서 국가균형발전의 취지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적ㆍ문화적 기반을 강화하는 데 역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세종시 중심의 행정이 되기 위해서는 공직사회의 일하는 방식과 행정문화가 개혁돼야 한다"며 "물리적ㆍ시간적 제약을 뛰어넘는 화상회의 등 디지털 행정을 확산시키고 이주 공무원들의 업무 전념을 위한 주거ㆍ교육 등 정주여건도 계획도시ㆍ자족도시와 같은 큰 틀에서 재점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행정 중심도시로 확실히 자리매김하게 됐다.
3단계로 이전하는 부처는 법제처와 국민권익위원회, 국세청, 우정사업본부, 한국정책방송(KTV) 등 5개 기관이다. 인원은 2292명이다.
정부는 11일 정부세종청사 제2공용브리핑실에서 조경규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 최두영 행정자치부 기조실장, 이충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3단계 중앙행정기관 등 이전 관련 브리핑을 갖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5개 중앙행정기관의 3단계 세종시 이전은 12일부터 26일까지 15일간 진행된다. 3단계 세종시 이전기관은 법제처, 국민권익위원회, 국세청, 우정사업본부, 한국정책방송원이며 이들 기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은 총 2292명이다.
또 지난달 28일부터 산업연구원을 시작으로 11개 정부출연 연구기관 2335명도 오는 28일까지 세종국책연구단지로 이전하게 된다.
이번 3단계 세종시 이전이 최종 마무리되면 36개 중앙행정기관 1만3002명의 공무원과 14개 정부출연 연구기관 3192명의 연구원들이 세종시에서 근무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정홍원 국무총리는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공공기관을 포함한 이전이 마무리되면 세종시는 총 50개 기관, 1만6000여명이 근무하는 명실상부한 행정중심도시가 된다"며 "세종청사 시대를 위한 물적 기반은 갖춰졌고 이제는 행정수도로서 국가균형발전의 취지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적ㆍ문화적 기반을 강화하는 데 역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세종시 중심의 행정이 되기 위해서는 공직사회의 일하는 방식과 행정문화가 개혁돼야 한다"며 "물리적ㆍ시간적 제약을 뛰어넘는 화상회의 등 디지털 행정을 확산시키고 이주 공무원들의 업무 전념을 위한 주거ㆍ교육 등 정주여건도 계획도시ㆍ자족도시와 같은 큰 틀에서 재점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