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가득 상수원… '수돗물' 시민불안 키워"

    지방의회 / 이영란 기자 / 2015-09-23 07:58:52
    • 카카오톡 보내기
    김광수 시의원 "서울시, 투자비·홍보비 낭비하는 꼴… 조류발생 근본적 사전조치 필요"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지난 6월 한강에 조류경보가 발령된 이후, 날이 갈수록 녹조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서울시의회에서도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광수 시의회 의원(새정치민주연합·노원5)은 지난 21일 열린 제263회 임시회에서 “시가 녹조문제에 적절한 대응을 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라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22일 김 의원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에서 조류경보 제도가 시행된 이후 15년 만에 처음으로 조류경보가 발령됐다. 잠실수중보 하류구간(2~4구간)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남조류세포와 클로로필-a가 검출된 것이다. 조류경보는 7월31일자로 해제됐으나 약 보름 만인 8월18일에 재발령 됐다. 발령구간이 강동대교~행주대교(1~4구간)로 확대됨으로써 현재는 한강 모든 구간에서 조류경보가 발령 중이다.

    김 의원은 “다행히 시가 도입한 고도정수처리시설은 원수가 악화돼도 안전한 수돗물 공급이 가능하다. 때문에 현재 심화되고 있는 녹조현상이 수돗물 수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그러나 녹조로 가득한 상수원의 모습은 수돗물에 대한 시민의 불안감을 키우기에 충분하다. 더 안전하고 맛있는 수돗물 공급으로 수돗물에 대한 시민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은 시의 노력이 무색해지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시는 지난 9년간 5285억원을 투자해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췄다.

    특히 시는 수돗물을 시민에게 홍보하기 위해 2013년에 10억9900만원, 2014년에 12억8800만원, 그리고 올해에는 34억9300만원을 편성 집행하고 있다.

    김 의원은 “그럼에도 한강에 이렇게 녹조가 심하게 형성되고 있다면 시민들은 막연한 불안감에 수돗물을 거부하게 될 것”이라며 “결국 홍보비를 낭비만 하는 꼴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시는 조류경보제 각 단계에 따라 물재생센터 운영강화, 수돗물 안전대책 가동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이는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조류발생 이후 사후적 대책을 펼 것이 아니라, 조류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사전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