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선 “野, 민생볼보 국정화투쟁 자제해야”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5-11-04 18:07:38
    • 카카오톡 보내기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최근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한 무소속 박주선 의원은 4일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과 관련한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의 국회보이콧에 대해 "민생을 볼모로 잡는 투쟁은 자제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인 박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강행을 하고 있는 이상은 야당이나 국민 입장에서는 적절한 방법과 수단이 없다. 예산을 비롯한 민생 문제는 민생 문제대로 해결하고 국정화와 관련된 국민 여론을 환기시키는 것은 시키는 것, 다시 말하면 투트랙 개념으로 정상화가 되어야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집필 계획이 나오면 집필 계획이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 야당으로서 역할이 있을 것이고, 집필된 내용 시안이 발표가 되면 그 부분에 대해서 얼마든지 얘기를 할 수 있다”며 “야권이 국정화를 좌절 시키려면 민생에 전념을 하고 국민들로부터 지지를 얻어내야 하는데 어떻게 된 것인지 국정화에 대한 반대 여론은 높은 데도 지금 새정치민주연합을 비롯한 야권에 대한 지지율은 오히려 여당보다 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것은 민생에 대해서 야당이 올인하라는 국민의 명령”이라고 해석했다.

    특히 박 의원은 “정치권이 교과서 블랙홀에 빠져서 예산과 법안 처리를 미뤄도 될 만큼 한가하지 않다”며 “국정화와 관련된 국민 여론을 환기시키는 것도 중요시 되어야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민생 전체가 포기되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새정치연합의 헌법소원 제기에 대해 “이미 92년도에 헌법재판소에서 국사 같은 경우는 다양한 견해를 소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이야기 하면서도 국가가 이를 검인정으로 할 것인가 국정제로 할 것인가에 대해서 재량권을 갖는다고 결정을 했다”며 “그렇기 때문에 특별한 사정이 엿보이지 않는 한 헌법 소원을 하더라도 야당의 주장이 헌법재판소에 의해서 받아들여지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 봤다.

    그러면서도 박 의원은 "정부 주장은 북한을 미화하는 교과서가 많다는 것인데 너무 침소봉대한 면이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박 의원은 손학규 새정치연합 전 상임고문의 역할론이 부각되는 최근 현상에 대해 "정계를 떠날 때 너무 과도한 책임을 스스로 지는 것이 아니냐는 생각을 했었다"며 "정계에 복귀를 해도 국민적으로 명분이 있다"고 공감을 표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