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래학 서울시의장 기자회견, "광역의회 정책지원전문인력 도입해야"

    지방의회 / 이영란 기자 / 2015-12-04 23:58:35
    • 카카오톡 보내기
    "전시성 예산등 예산낭비 막기위해 시급… 지방자치법개정안 조속히 통과필요"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회장인 박래학 서울시의회 의장이 4일 광역의회 정책지원전문인력 도입을 촉구하고 나섰다.

    박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역의회의 정책지원 전문인력 도입은 시민 혈세를 아끼고,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름길"이라며 현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 중인 지방자치법일부개정법률안의 조속한 통과를 요구했다.

    해당 법률안은 광역의원의 의정활동 활성화를 위해 유급 정책지원 전문인력을 채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박 의장은 "지방행정 환경이 점점 전문화되고 복잡화돼가고 있는 가운데 시민의 요구는 다양해져 광역의원의 역할이 폭주하고 있다"며 "그러나 시·도의원의 조례제정 및 정책개발 등 의정활동 전반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는 전혀 마련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 총 지출 중 지방지출이 증가하고 있고, 국가사무의 지방이양 확대로 인한 지방사무가 증가일로를 달리고 있어 이를 감시ㆍ감독하고 예산·결산 심의를 통한 예산낭비를 효율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전문인력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방의원이 집행부의 정책 또는 예산집행 과정에서 정책지원전문인력의 지원으로 선심성 예산, 토목성 예산, 전시성 예산 등 낭비적 요인들을 보다 철저히 검증하고 통제해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의장에 따르면 미국 뉴욕시의회와 LA시의회는 보좌인력을 5명에서 10명까지 두고 있으며, 독일 베를린광역시의회는 2005년부터 1인 개인보좌관제를 도입했고, 영국 런던광역시의회와 프랑스 파리레종의회 등은 예산을 편성해서 다양한 형태로 개인보좌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박 의장은 국회의원과 지방의원의 심의 예산을 비교하면서 2016년 정부예산은 386조로 국회의원 1인당 1조2866억원을 심의하는데 보좌 인력은 9명인데 반해 2015년 지방예산은 233조로 지방의원 1인당 2934억원을 심의하는데 보좌인력은 0명"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서울시의원의 경우, 서울시(교육청 포함) 예산 39조를 1인당 3679억원 심의하는데도 보좌인력은 한 명도 없다"며 "이는 효율적인 예산심의를 기대할 수 없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박 의장을 비롯해 수석부회장인 구성지 제주자치도의회 의장, 부회장인 강득구 경기도의회 의장ㆍ이언구 충청북도의회 의장 등이 참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