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불허 결정 번복 없을 것”

    정당/국회 / 전용혁 기자 / 2016-05-17 10:20:18
    • 카카오톡 보내기
    “정부 기념을 제정한 취지 살려야 한다는 게 가장 큰 목적”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불허 결정에 대해 정치권내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국가보훈처가 ‘결정 번복’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최정식 국가보훈처 홍보팀장은 17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으로 인해 국론이 분열되면 안 된다는 게 기본입장”이라며 “행사가 내일(18일)인데 현재까지는 저희가 어제 입장 발표 드린 상황에서 큰 변동사항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997년 정부 기념일로 제정하고 난 이후 수많은 논란이 있었고, 제창과 합창에 대한 논란도 워낙 찬반양론이 너무 첨예하기 때문에 이 부분들에 대해 정부에서는 정부 기념일로 제정한 취지를 살려야 한다는 게 가장 큰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결정을 내린 것인가’라는 질문에 “(박 대통령으로부터)검토하라는 내용을 받고 저희가 검토를 하는 것인데, 대통령께서 얘기하시는 부분들은 국가보훈처에서 좋은 방안을 마련하라고 하신 것”이라며 “거기에 따라 국가보훈처는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최종적으로 보고를 드린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문제가 국민들의 찬성과 반대가 각각 나뉘어져 있는 상황”이라며 “이 문제를 제창을 하는 경우와 합창하는 방식으로 하는 경우 각각의 문제점들이 다 있지만, 정부 기념식에는 3부 요인들 뿐 아니라 각 국가를 대표하는 각 단체들이 다 참여를 하게 된다. 그야말로 온 국민이 5.18 국민 통합을 위해 만들어지는 행사인데 우리는 부르고 싶지 않은 분들을 의무적으로 부르게 하는 이 제창 방식을 강요하면 이 행사를 또 보이콧 하겠다고 하는 보수쪽 의견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제창을 하게 되면 애국가 제창처럼 결국 대통령이나 총리께서도 같이 따라 불러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며 “자율 의사가 아니라 제창이라는 방식을 통해 참석자들이 거의 의무적으로 따라 불러야 하는 방식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