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8일 국회를 전격 방문해 국회 추천 총리 수용 의사를 밝히면서 총리추천의 공을 떠안게 된 야당이 떨떠름해하는 기색이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9일 “내각 통할권에 국무위원 임면권은 물론 박 대통령의 실질적인 2선 후퇴가 전제돼야 총리추천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며 “그렇지 않고선 언제든 박 대통령이 국정운영의 주도권을 쥘 수 있는 말뿐인 책임총리가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 논의 자체를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원장도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린 이미 대통령이 던져놓은 함정에 빠져들었다”며 ”내가 (후보를) 추천하면 민주당에서 들어주겠느냐, 새누리당에서 들어주겠느냐. 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추천하면 내가 들어주겠느냐. (국회의 총리 추천은) 안 되게 돼 있다. (박 대통령이) 시간을 버는 것“이라고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야당은 또 박 대통령의 기습제안으로 '최순실 국정개입 파문'에 집중돼 있는 국민적 관심이 갑자기 '국회 추천 총리'로 옮겨지는 것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
실제 박지원 비대위원장은 전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대통령께서 국회에서 총리를 추천해달라는 말씀을 남기고 13분 만에 돌아가시니 최순실, 우병우보다 후임 총리가 누가 되느냐로 모든 초점이 옮겨 갔다. 이곳저곳에서 자천타천 총리 후보가 난무하고 진짜 코미디"라며 "역시 대통령님의 정치는 기가 막히다"고 말했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도 “대통령에게 있던 책임을 야당에 떠넘긴 대통령의 기가 막힌 한 수”라고 평가했다.
실제 책임총리 추천을 놓고 여야 간은 물론 야야 갈등이 일어나고, 그만큼 대통령은 시간을 벌게 됐다는 분석이다.
거기에 박 대통령이 야당의 요구대로 총리추천권을 국회에 일임하겠다는 뜻을 밝혔는데도 이를 거부할 경우 여론의 역풍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당은 그동안 야권이 요구해 온 조건을 모두 받았다며 총리 추천에 동참하라고 야당을 압박하고 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의 검찰 및 특검 수사 수용, 영수회담을 포함해 김병준 국무총리 지명 철회와 국회추천 총리지명 등을 모두 수용했다"며 "추가적인 조건을 내걸어 정국 수습을 늦추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9일 “내각 통할권에 국무위원 임면권은 물론 박 대통령의 실질적인 2선 후퇴가 전제돼야 총리추천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며 “그렇지 않고선 언제든 박 대통령이 국정운영의 주도권을 쥘 수 있는 말뿐인 책임총리가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 논의 자체를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원장도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린 이미 대통령이 던져놓은 함정에 빠져들었다”며 ”내가 (후보를) 추천하면 민주당에서 들어주겠느냐, 새누리당에서 들어주겠느냐. 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추천하면 내가 들어주겠느냐. (국회의 총리 추천은) 안 되게 돼 있다. (박 대통령이) 시간을 버는 것“이라고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야당은 또 박 대통령의 기습제안으로 '최순실 국정개입 파문'에 집중돼 있는 국민적 관심이 갑자기 '국회 추천 총리'로 옮겨지는 것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
실제 박지원 비대위원장은 전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대통령께서 국회에서 총리를 추천해달라는 말씀을 남기고 13분 만에 돌아가시니 최순실, 우병우보다 후임 총리가 누가 되느냐로 모든 초점이 옮겨 갔다. 이곳저곳에서 자천타천 총리 후보가 난무하고 진짜 코미디"라며 "역시 대통령님의 정치는 기가 막히다"고 말했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도 “대통령에게 있던 책임을 야당에 떠넘긴 대통령의 기가 막힌 한 수”라고 평가했다.
실제 책임총리 추천을 놓고 여야 간은 물론 야야 갈등이 일어나고, 그만큼 대통령은 시간을 벌게 됐다는 분석이다.
거기에 박 대통령이 야당의 요구대로 총리추천권을 국회에 일임하겠다는 뜻을 밝혔는데도 이를 거부할 경우 여론의 역풍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당은 그동안 야권이 요구해 온 조건을 모두 받았다며 총리 추천에 동참하라고 야당을 압박하고 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의 검찰 및 특검 수사 수용, 영수회담을 포함해 김병준 국무총리 지명 철회와 국회추천 총리지명 등을 모두 수용했다"며 "추가적인 조건을 내걸어 정국 수습을 늦추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비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