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국민의당, 야권공조 하지만 ‘앙금’은 여전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6-11-19 09:00:00
    • 카카오톡 보내기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정국에서 그동안 ‘야권공조’의 모양새를 유지하던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에 균열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우선 민주당이 그간 자제해왔던 국민의당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17일 “그간 야권에서 의견 충돌이 있을 때마다 국민의당이 우리당을 향해 공격을 해도 우리는 반격을 자제했다. 우리가 제1야당인데다 문재인 전 대표라는 지지율 1위 대선주자가 있기에 야권 분열로 비칠 수 있는 행동을 자제해 왔던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민주당은 국민의당의 공세에 반발하거나 크게 반응하면 상대적 소수당인 국민의당의 전략에 말려들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반격하지 않고 무대응하는 방식을 택했다.



    그러나 최근 최순실 사태 정국에 들어서며 이같은 양상이 바뀌는 조짐이다.



    김민석 민주당 당 대표 특보단장은 전날 추미애 대표의 비선실세설을 꺼낸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을 향해 "알고 있는 것이 있다면 소상하게 밝히고, 근거가 없으면 정중하게 사과하라"고 공세를 취했다.



    앞서 박 위원장은 추미애 민주당 대표가 양자 영수회담을 추진한 배경에 '비선 측근'이 있다며 "추미애의 최순실"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문재인 전 대표와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의 생각도 달랐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가 전날 여권 인사들이 포함된 '정치지도자회의'를 제안한 데 대해 문 전 대표는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과 함께 책임져야 할 공범 또는 공동책임 관계에 있다"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 3당 대표들이 17일 회동을 갖고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위한 '공조 방안'을 모색하지만 단일 방안이 나오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심지어 3당 간 '쌓인 앙금'이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도 제기된다.



    3당은 추 대표가 지난 14일 두 당을 제외하고 민주당과 청와대 간 '일대일 영수회담'을 제안하면서 공조체제에 균열이 생겼었다.



    이후 추 대표가 당 안팎의 반발에 따라 15일로 성사됐던 영수회담을 전격 철회하기는 했지만 민주당에 불신은 남아 있는 상태다.



    또한 3당 대표는 전날 시민사회 원로인 함세웅 신부와 오찬을 하기로 했으나 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엇박자를 내면서 결국 불발된 바 있다.



    한편 문 전 대표가 지난 15일 기자회견에서 총선 전 광주 방문에서 '호남 지지 철회시 정치은퇴 선언은 전략적 판단'이라는 취지의 말에 박지원 비대위원장은 '또 다른 호남 무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