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최순실 사태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는 새누리당이 급기야 분당(分黨) 위기에 직면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친박(친 박근혜)계 지도부가 21일 비박(비 박근혜)계를 질타하며 "비상시국회의를 해체하지 않는다면 지도부도 중대결단을 내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정현 대표는 이날 오전 여의도 새누리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탈당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는 비박계를 향해 "당과 상관없다고 당을 떠나면 새누리당의 모든 책임으로부터 면죄부를 받게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참 잘못된 생각"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제가)사퇴의 구체적 날짜까지 박았고,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했으니, (비박계가)이후 당을 어떻게 쇄신·개혁·제2창당할지, 자신들도 한 축인 당내 계파·분파를 어떻게 해결할 지 안을 가져와야 맞다"며 "이제는 고장난 녹음기처럼 '이정현 사퇴하라'만 틀지 말고 개혁안을 가져와라. 그걸 내놓지 못할거면 '이정현 사퇴하라'는 말도 하지 마라"고 반박했다.
특히 조원진 최고위원은 비박계가 추진하는 대통령 윤리위 제소 건에 대해 “당규위반”이라며 "안 되는 줄 알면서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데 분노를 넘어 비열함 마저 느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비박계의) 비상시국회의야말로 해당행위며 당규 위배사항"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탈당 명분 세우려고 당원들의 절차적 중지 없이 자기들끼리 대통령을 출당시키려 하는 것은 그야말로 정치적 폐륜행위”라며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이어 "계속 (지도부 요청을)거부하고 해체하지 않는다면, 우리 지도부도 중대결단을 내릴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이장우 최고위원도 "새누리당에서도 비박계가 당을 걱정하는 것처럼 얘기하면서 당을 가르고 파괴하고 있다"며 가세했다.
특히 그는 남경필 경기도지사를 겨냥, "2대에 걸쳐서 공천만 9번 받았다"며 "그런 분이 당에 돌을 던지며 탈당 운운하는 것은 전 당원의 가슴에 비수를 꽂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김무성 전 대표를 향해선 "돌을 맞아야 할 김 전 대표가 당을 향해 끊임없이 돌을 던지고 있다. 어떻게 당에서 5선을 했고, 당대표·원내대표·사무총장·대선 선대위총괄본부장을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더 이상 해당행위를 중단하고 새누리당을 떠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탈당을 촉구했다.
하지만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 등으로 구성된 비상시국회의는 이날 박근혜 대통령 징계요구안을 당 중앙윤리위원회에 제출하는 등 강경대응 방침을 굽히지 않고 있다.
비상시국회의 관계자는 "오늘 오전 실무회의를 열어 징계요구안을 만들 계획"이라며 "당원 1명만 징계요구안을 제출해도 되지만 최대한 많은 이들의 이름을 담으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에 이진곤 당 윤리위원장은 "박 대통령을 제소한다면 최대한 이른 시일 내 회의를 개최해 이 사안이 징계심사 [대상]인지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 남경필 경기지사 등 비주류 80여명은 전날 국회에서 비상시국회의를 개최했다.
황영철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회의에 참석한 국회의원 35명 중 3명을 제외한 32명이 탄핵 절차 착수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야3당 의원과 야권 성향 무소속 의원을 합친 171명 모두가 탄핵 찬성표를 던진다고 가정할 때 탄핵 소추 가결을 위해선 최소 새누리당 29명의 찬성이 필요하다.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 32명이 탄핵 절차에 동의함에 따라 탄핵 소추 가결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