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은 30일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임기단축을 포함한 거취를 국회 결정에 맡기겠다고 발표한 것이 야당과 새누리당 내 비박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내다봤다.
홍 의원은 이날 오전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 아침'에 출연, 야당에 대해선 "탄핵을 준비하면서 하나가 된 야당들은 약이 오르고 탄핵 대오가 흐트러지지 않았을까 생각한다"며 당내 비주류에 대해선 “탄핵을 하고 나서 탈당을 한 뒤 제3지대 연대 계획을 세우고 있지 않았을까 싶은데, 그런 일정에 착오가 생길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대통령의 퇴진시기에 대해선 "각계 원로들이 4월, 6월이라고 제시했는데 그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대통령도 그렇게 염두에 두고 계실 것"이라고 예측했다.
야권이 박 대통령이 3차 담화에서 퇴진 시기를 밝히지 않은 것에 대해 '탄핵 저지위한 시간 끌기 꼼수'라고 비난하는 것과 관련, 야당은 퇴진 시기를 명시했다고 해도 또 뭐라고 했을 것"이라며 "날짜를 명시하지 않은 것은 꼼수가 있는 게 아니라 최대한 국회의 의견을 준수하겠다는 취지"라고 반박했다.
이어 "국회에서 개헌과 연계해 시간을 끌려 한다는 등 오해가 있으니까 대통령께서 이번엔 아예 국회가 법과 원칙에 따라 모든 걸 정해주면 정해준 날짜에 물러나겠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의원은 야당과 새누리당내 비주류의 탄핵 움직임에 대해선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헌법재판소에서 결정하기까지, 그 기간 동안 정치적으로 국민에게 많은 불안과 혼란을 줄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런 혼란을 해소하고 국회가 제시하는 타임테이블에 맞춰 정권을 이양하겠다는 것"이라며 "대통령 마음 같아서는 탄핵을 하고 특검을 해서 명명백백하게 밝히고 헌재에서 탄핵 결정이 내려지길 원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그런 과정들에서 있을 국정 혼란과 정치권과 거리에서의 쟁투를 걱정하신 것"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그러면서 "여야가 (정권이양에 대해) 논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