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탄핵 처리를 눈앞에 두었던 국회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담화 발표 3일 만에 상황이 급변했다.
세누리당 비박계가 1일 탄핵 철회로 돌아섰는가하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의 찰떡궁합같던 야권공조도 와해 됐다.
새누리당 비박계 수장 격인 김무성 전 대표는 이날 추미애 민주당 대표와 긴급 회동을 갖고 4월 말 대통령 퇴임이 결정되면 굳이 탄핵으로 가지 말자는 제안을 했다고 밝혔다.
이는 박 대통령이 4월 말 퇴진을 수용한다면 9일 탄핵에 동참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친박계도 4월 퇴진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박 대통령이 이를 수용할 가능성은 크다.
결국 이날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시한을 내년 4월말로 정하고 6월말 조기대선을 치르는 일정을 당론으로 채택했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에 대해 "4월말-6월 일정은 지난 주말 진보보수를 망라한 국가원로들의 의견도 듣고 나름대로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안정적인 정권이양을 위해 최소한의 대통령 선거 준비기간 확보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탄핵심판의 종료시점과도 비슷한 시점으로 가장 합리적인 일정이라는 데 우리 새누리당 소속 의원들 전원이 만장일치 박수로 당론을 채택했다"며 "공식 당론을 토대로 야당과의 협상에 임해서 꼭 당론이 관철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 원내대표는 이날 의총에서 탄핵안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비상시국위원회에서 모아진 의견은 파악하지 못했다"며 "당론채택은 국민들에게 매우 중요한 정치일정의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야당도 이런 여당 당론에 성의 있는 반응과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야권의 움직임도 급변했다.
민주당은 이날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발의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했다.
금태섭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민주당은 탄핵소추안을 발의한다. 헌법재판소장 임기 전 탄핵 심판을 위해선 2일 의결해야 한다는 점을 수차례 강조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민의당은 이날 발의에 불참하기로 했다.
이용호 국민의당 대변인은 탄핵이 목적이지 발의가 목적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대통령 탄핵소추안은 재적의원 과반수의 발의를 거쳐야 한다. 국민의당과 새누리당이 거부하면 150명을 채울 수 없다.
이에 따라 탄핵안의 '2일 처리'는 사실상 무산됐으며, 9일 탄핵안처리 역시 장담할 수 없게 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