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문재인, 탄핵소추 앞두고 균열조짐.. 왜?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6-12-07 13:03:15
    • 카카오톡 보내기
    與비박 “문재인, 탄핵안 부결시 정계은퇴 하라”
    “탄핵 후 하야운동? 초법적 발상...대권노름에 빠졌나?”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와 관련해 그동안 '한배'를 탔던 새누리당 비박계와 더불어민주당이 탄핵 표결을 앞두고 균열 조짐을 보이는 양상이다. 특히 소추안에 담을 '세월호 7시간' 문구 수정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면서 문재인 전 대표에 대한 새누리당 비박계의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새누리당 비박계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부결 시 국회의원 전원 사퇴를 주장한 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를 향해 "탄핵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문재인 전 대표는 정계를 은퇴해야 한다"고 7일 직격했다.

    새누리당 비상시국회의 대변인격인 황영철 의원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공개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탄핵안 통과를 위해서 많은 국민들이 애쓰고 있는데 문 전 대표는 탄핵안 통과여부보다는 대통령 되기 노름에 빠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며 이 같이 지적했다.

    특히 그는 최근 문 전 대표를 중심으로 하는 일부 친문세력들이 탄핵안이 통과되고 나면 박 대통령 즉시 하야운동을 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국민들이 진정 바라는 것이 이것이냐"고 반문하면서 "국민들께서는 헌법과 법률이 정한 바에 따라서 탄핵 절차를 통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선택해주셨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렇기 때문에 탄핵이 통과되고 나면 대통령은 모든 권한과 직무에서 손을 내려놓게 된다. 하야와 같은 상황에 놓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탄핵은 국민들이 선택한 방법인데 문 전 대표는 탄핵 이후 하야를 다시 언급해 국민들을 대권놀음 수단으로 이용하려 한다"고 거듭 비판했다.

    비박계 좌장 격인 김무성 전 대표도 문재인 전 대표를 향해 본인의 권력욕심만 생각하고 촛불민심을 훼손하는 '거리정치'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김 전 대표는 전날 "탄핵은 헌법질서를 수호하는 것이지 헌법질서를 허무는 혁명 수단이 아니다"라면서 "우리 헌법은 대통령에 대해 국회가 탄핵을 의결하면 헌법재판소가 그 결정이 옳은지 그른지를 판단하는 의사결정 장치를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한민국이 3권 분립의 원리에 의해 작동하도록 하는 장치이자 국가중대사에 대해 숙고하고 숙려하는 장치"라며 "이러한 헌법 절차를 무시하고 국회에서 탄핵이 이뤄질 때 대통령은 즉각 사임해야 한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은 헌재 판결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자고 국민을 설득하면서 국정 안정을 위한 해법과 대안을 찾는데 나서야 옳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저는 정치권에서 가장 먼저 탄핵의 불가피성을 주장했고 지금도 탄핵 찬성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탄핵은 대통령에 의해 초래되는 국정위기를 헌법적 절차를 통해 해결하자는 것이지 헌법질서를 허물자는 것은 아니다"라며 "문재인 전 대표는 법률가 출신인데도 박 대통령을 헌법 위반이라는 이유로 탄핵하면서 대통령이 되겠다는 자신은 헌법을 일탈한 방식으로 '탄핵 후 대통령의 즉각 사임'을 주장하며 조기 대선을 치루겠다는 욕심을 드러내고 있다"고 질책했다.

    이어 "본인의 권력 욕심만 생각하는 지극한 아집이자 독선적인 발상이며 반 헌법적인 생각"이라고 꼬집었다.

    이 같은 새누리당 비박계의 공세는 최근 시중에 '친문패권 세력이 의도적 반대표로 탄핵을 부결시킨 뒤 그 책임을 '새누리당'에 돌린다는 '차도살인' 시나리오가 회자되는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이 전날 "야당 일각에서 음모 수준의 이야기들이 들리고 있는데, 사실이 아니기를 바란다"며 "탄핵안을 부결시키기 위한 세력들은 국민 앞에서 장난치지 말라"고 엄포를 놓은 것도 친문진영에 대한 사전 경고로 해석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토사구팽(兎死狗烹)과 '배신의 정치'는 친노·친문의 전매특허"라며 "문재인 전 대표도 대통령이 되고나면 2020년 총선에서 '공천 대학살'을 하려고 할텐데, 그런 책략을 결행하면 국회의원들에게 '약점'이 잡히게 되기 때문에 선뜻 결행하려 할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