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26.8% > 李 14.9% > 安 8.1% > 孫 5.4% > 朴 5.2%
“개헌 필요” 65.5% > “필요 없다” 27.4%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국회의 탄핵 가결로 조기 대선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야권 대선후보 적합도를 묻는 질문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를 선택한 의견이 가장 많았다.
13일 공개된 한국일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야권의 대선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6.8%가 문 전 대표를 선택했다. 문 전 대표에 이어 ‘탄핵 정국’에서 지지율이 급상승한 이재명 성남시장이 14.9%,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가 8.1%로 뒤를 이었다. 무소속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5.4%, 박원순 서울시장 5.2%, 안희정 충남지사 4.8%, 김부겸 민주당 의원 3.2%, 김종인 민주당 전 비상대책위 대표 1.2% 순이었다.
특히 지지정당별로 보면, 민주당 지지자 사이에선 문 전 대표가 59.0%로 압도적 지지를 얻었다. 이어 이 시장 17.3%, 박 시장 5.7%, 안 지사 4.9% 순이었다.
이에 따라 민주당 당내 경선은 사실상 문재인 전 대표를 추대하는 자리가 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경선구도가 이미 문 전 대표에게 기울어져 있는 상황에서 공정한 경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비문(非文)주자들의 반발을 배제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국민의당 지지자 사이에선 안 전 대표가 41.0%의 지지를 얻어 1위를 차지했으나 당내 이렇다 할 경쟁 후보가 없는 상황임에도 예상보다 저조한 지지율을 보이고 있어 당내에서 새로운 찾기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이어 이 시장이 11.9%, 손 전 대표가 9.9%를 기록했고, 문 전 대표는 4.8%에 불과했다.
정의당 지지자 사이에선 이재명 시장이 35.5%의 높은 지지를 얻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개헌에 공감하는 의견이 응답자의 3분의 2를 차지했다.
국민들이 ‘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난 대통령의 권력집중에 대해 견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개헌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필요하다’는 응답은 65.5%였다. 최순실씨의 국정농단이 드러난 이후 ‘제왕적 대통령제’를 고쳐야 한다는 의견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 ‘필요하지 않다’는 27.4%, 모름ㆍ무응답은 7.1%였다.
개헌 시기에 대해서도 ‘차기 대선을 치르기 전에 개헌해야 한다’는 응답이 50.2%로, ‘다음 정부나 그 이후 정부에서 개헌해야 한다’는 응답(45.9%)을 앞섰다.
지난달 KBSㆍ미디어리서치 조사 결과 역시 ‘차기 대선 이전 개헌’이 59.2%, ‘다음 정부 이후 개헌’이 38.2%로 대선이전 개헌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다만 민주당 지지층은 문 전 대표처럼 ‘다음 정부 이후 개헌’을 선호하는 의견이 58.8%로 다수였다. 반면 새누리당과 국민의당 지지층은 ‘차기 대선 이전 개헌’ 의견이 각각 63.2%, 58.4%로 나타났다.
이번 여론조사는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9, 10일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유선 176명, 무선 824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유ㆍ무선 전화 임의걸기(RDD)를 통한 전화면접조사 방법을 썼으며 응답률은 14.4%로 집계됐다. 2016년 11월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 기준을 적용해 지역ㆍ성ㆍ연령별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개헌 필요” 65.5% > “필요 없다” 27.4%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국회의 탄핵 가결로 조기 대선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야권 대선후보 적합도를 묻는 질문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를 선택한 의견이 가장 많았다.
13일 공개된 한국일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야권의 대선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6.8%가 문 전 대표를 선택했다. 문 전 대표에 이어 ‘탄핵 정국’에서 지지율이 급상승한 이재명 성남시장이 14.9%,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가 8.1%로 뒤를 이었다. 무소속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5.4%, 박원순 서울시장 5.2%, 안희정 충남지사 4.8%, 김부겸 민주당 의원 3.2%, 김종인 민주당 전 비상대책위 대표 1.2% 순이었다.
특히 지지정당별로 보면, 민주당 지지자 사이에선 문 전 대표가 59.0%로 압도적 지지를 얻었다. 이어 이 시장 17.3%, 박 시장 5.7%, 안 지사 4.9% 순이었다.
이에 따라 민주당 당내 경선은 사실상 문재인 전 대표를 추대하는 자리가 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경선구도가 이미 문 전 대표에게 기울어져 있는 상황에서 공정한 경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비문(非文)주자들의 반발을 배제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국민의당 지지자 사이에선 안 전 대표가 41.0%의 지지를 얻어 1위를 차지했으나 당내 이렇다 할 경쟁 후보가 없는 상황임에도 예상보다 저조한 지지율을 보이고 있어 당내에서 새로운 찾기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이어 이 시장이 11.9%, 손 전 대표가 9.9%를 기록했고, 문 전 대표는 4.8%에 불과했다.
정의당 지지자 사이에선 이재명 시장이 35.5%의 높은 지지를 얻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개헌에 공감하는 의견이 응답자의 3분의 2를 차지했다.
국민들이 ‘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난 대통령의 권력집중에 대해 견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개헌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필요하다’는 응답은 65.5%였다. 최순실씨의 국정농단이 드러난 이후 ‘제왕적 대통령제’를 고쳐야 한다는 의견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 ‘필요하지 않다’는 27.4%, 모름ㆍ무응답은 7.1%였다.
개헌 시기에 대해서도 ‘차기 대선을 치르기 전에 개헌해야 한다’는 응답이 50.2%로, ‘다음 정부나 그 이후 정부에서 개헌해야 한다’는 응답(45.9%)을 앞섰다.
지난달 KBSㆍ미디어리서치 조사 결과 역시 ‘차기 대선 이전 개헌’이 59.2%, ‘다음 정부 이후 개헌’이 38.2%로 대선이전 개헌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다만 민주당 지지층은 문 전 대표처럼 ‘다음 정부 이후 개헌’을 선호하는 의견이 58.8%로 다수였다. 반면 새누리당과 국민의당 지지층은 ‘차기 대선 이전 개헌’ 의견이 각각 63.2%, 58.4%로 나타났다.
이번 여론조사는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9, 10일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유선 176명, 무선 824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유ㆍ무선 전화 임의걸기(RDD)를 통한 전화면접조사 방법을 썼으며 응답률은 14.4%로 집계됐다. 2016년 11월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 기준을 적용해 지역ㆍ성ㆍ연령별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