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누리당 관계자는 28일 “개혁보수신당과의 '보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새누리당 혁신 작업의 책임을 맡은 '인명진 호'가 제대로 나갈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며 “그러자면 내일 전국위원회에서 반드시 비대위원장 추인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위 추인을 받기 위해서는 재적 위원 과반 출석에 과반 찬성이 필요한데 전날 비박계 의원 29명 탈당으로 현재 전국위 재적인원은 750여명 정도다. 여기에는 신당 합류 예정인 원외당협위원장과 지방의회 의원들도 포함돼 있지만 전국위 참석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당 지도부는 소속 의원들에게 [동원]령을 내리고 전국위 참석 독려에 나선 상태다.
당 관계자는 “의원들이 전화기를 붙잡고 저마다의 지역구 단체장과 지방의원들에게 출석을 독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심지어 모 의원은 "당이 절체절명의 위기에 서 있는 만큼 시도지사들과 기초의회 의원들의 참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참석 여부를 사무처에 기록으로 남겨 후에 공천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보다 더 큰 난제는 인명진 비대위원장 내정자의 ‘인적청산’ 방침에 달려있다는 지적이다.
인명진 비대위원장 내정자는 전날 대통령 탄핵에 대한 친박 책임론에 대해 “박근혜 정부 4년을 이끌었던 부분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면 당은 국민으로부터 버림받고 모두 죽는다”며 인적청산 가능성을 언급했다.
다만 그는 “책임을 묻는다 해도 절차와 법에 따라야지 ‘인민재판식’으로 해선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이에 대해 이우현 의원은 전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인 내정자를 향해 “당내 상황을 파악하지 않고 너무 개혁적인 것을 말하면 당의 혁신이 아니라 당의 분열을 초래한다”고 반발했다.
김태흠 의원은 지난 26일 열린 의총에서 "당직을 내려놓는 것은 강하게 요구할 수 있지만 2선 후퇴라든가, 당을 나가라 하는 이런 부분들은 법적인 문제로, 정확한 잘못이 있었을 때 요구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갑윤 의원 역시 "(친박 핵심들에 대한) 출당, 이런 표현은 좀…"이라고 마뜩찮은 반응을 보였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주류 친박계가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를 출범시키고 재창당 수준의 혁신을 시도해야 하는데 그 성패는 인적 쇄신에 달려 있는 것 아니겠느냐”며 “특정인의 반대로 새누리당이 침몰하게 두느냐, 아니면 일부 희생으로 새누리당을 살려내느냐 하는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