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10일 저녁 청와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와의 만찬 회동에서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패스트트랙’에 태운 선거제 개혁안 문제로 출동했다.
두 대표 사이에는 고성이 오가면서 문 대통령이 말린 것으로 전해졌다.
김종대 정의당 수석대변인과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의 만찬 후 브리핑에 따르면, 황 대표와 손 대표는 만찬 중 국회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올라 있는 선거제 개혁안 관련 대화를 하다가 언성을 높였다.
김종대 대변인은 “선거제 개혁에 대해 황 대표가 한국당 안에 대해 정부와 여당이 논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는 주장을 했다. 이에 일부 대표가 반박하며 다소 언성이 높아지는 등 열기가 고조되는 부분이 일부 있었다”고 전했다.
정동영 대표는 “뜨거운 논쟁과 토론이 진행됐기에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오랜만에 싸울만한 것 가지고 싸웠다. 이런 정치토론은 자주 있어야 한다”고 평했다.
실제로 황 대표는 “정부와 여당이 한국당과 협의 없이 선거제 개혁안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 문제가 있다”고 이의를 제기했다.
앞서 지난 4월 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은 지역구 국회의원 의석을 줄이고 비례대표를 늘리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등 선거법 처리에 합의한 바 있다.
이에 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 대표들은 “한국당이 협상에 응하지 않은 것”이라며 반박했고, 황 대표가 다시 반발하자, 손 대표는 “정치를 그렇게 하면 안 된다. 나라를 좀 생각하라”고 지적했다. 이에 황 대표가 “그렇게라니요?”라고 맞받으면서 일순간 두 대표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결국 문 대통령이 중재에 나섰고 황 대표와 손 대표는 ‘소리를 높여 미안하다’고 사과한 뒤 대화를 이어갔다.
당초 문 대통령이 야당 대표들에게 협조를 구할 것으로 예상됐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 등의 국회 처리와 내년도 예산안 통과 등에 대해선 별다른 이야기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문 대통령은 여·야·정 상설협의체를 복원해 주요 현안들을 논의하자는 희망을 강력하게 피력했고 야당 대표들도 긍정적으로 호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는 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가 작년 8월 구성하기로 했던 기구다.
만찬 말미에 문 대통령은 선거제 개혁과 관련 “여아정 상설 국정협의체를 발족하면서 여야가 선거제 개혁에 합의한 바 있다”면서 “국회가 이 문제를 협의해 처리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서면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의 제안해 야당 대표들도 긍정적으로 호응했고 특히 황 대표도 당에 돌아가서 긍정적으로 논의하겠다고 답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정의당 김종대 수석대변인은 “유독 황 대표만 원내와 협의해보겠다는 말을 했다”고 밝혔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개헌에 대해서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2018년 3월) 개헌안을 냈다가 무색해진 경험이 있어서 뭐라고 하기는 어렵다"며 "공약 내걸어서 총선 이후 쟁점이 되면 민의를 따르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가 "문 대통령이 취임 초 선거제 개혁에 합의하면 분권형 개헌에 찬성하겠다고 국민과 약속했다"고 언급한 데 따른 답변이었다.
또한 손 대표가 "대통령이 국민들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했으나 문 대통령은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