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본받겠다더니 "조국프레임이 징계보다 100배 더 폭력적"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금태섭 전 의원 징계로 논란의 중심에 선 가운데 '소신 정치'를 외치던 당 초선들이 약속이라도 한 듯 일제히 묵언수행을 이어가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심지어 김영국 의원 경우처럼 "금태섭 의원처럼 소신 있는 초선이 되겠다"고 했다가 하루 만에 금 의원 저격수로 변신, 지도부 눈치 눈치보기냐고 지적받는 초선도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4일 “친문 당원 500여명이 청구한 징계 청원에 금 전 의원이 '경고' 처분을 받자 헌법 가치와 국회법에 위배된다는 비판이 당 안팎에서 나오고 있지만 대부분의 초선의원들이 침묵모드를 이어가고 있다"며 "당의 무게중심이 강성 친문 당원들로 기운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당 윤리위가 지난 2월에 제출된 징계 청원을 굳이 석 달이나 지난 시점에서 심의한 것도 극성 당원들의 입김 탓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해찬 대표가 '강제적 당론' 논리를 내세워 경고 처분에 문제가 없다고 못을 박은 것도 이같은 상황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당사자인 금 전 의원은 "당론을 따르지 않았을 때 책임을 묻는 건 당연한데 징계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며 "선거법 표결 때 불참한 의원들에 대해선 징계하지 않는데, 선거법은 권고적 당론이고 공수처법은 강제적 당론이었던 거냐"고 강력 반발하는 모습이다.
실제 그동안 몇몇 의원들이 선거법 개정안 표결 시 본회의에 불참한 바 있지만, 이들에 대한 청원이 제기되거나 징계처분이 내려진 사례는 없다.
그러나 표결 직전 의총에서 선거법 개정안은 권고, 공수처 설치법은 강제적 당론으로 의결했다며 당 지도부가 단호한 입장을 고수하자 등 당내 소신파를 본받겠다던 초선들도 돌변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김남국 의원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금태섭, 박용진 의원처럼 소신 있는 초선이 되겠다 "며 "긍정적인 부분을 높이 평가드리고 싶다"고 말했다가 갑자기 입장을 바꿨다.
실제 김 의원은 "의원님이 '공수처 반대', '조국 임명 반대'를 소신이라고 존중받아야 한다고 말하는 만큼 '공수처 찬성', '조국 임명 찬성' 주장도 동등하게 대우 받아야 하는 것"이라며 "'당론이 지켜져야 한다'는 근거로 의원님에 대한 경미한 징계를 한 것보다 의원님께서 선거 치르는데 '조국 프레임'으로 안 된다는 논리로 분위기 만들어서 다른 말 못하게 틀어막고 경선 못 치르게 한 것이 100배는 더 폭력적이고 비민주적"이라고 공세를 펼치는 등 돌변한 모습을 보여줬다.
이에 대해 당내에서는 정치적 입지를 위해 금 전 의원에 대한 공격을 이어가는 김 의원에게 곱지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친문 당원들에게 인심을 잃은) 금 전 의원을 걸고 넘어지면 주목을 받을 수 있다는 계산으로 벌이는 정치쇼"라며 "김 의원 뿐만 아니라 상당수 초선들이 '소신 정치' 운운하면서도 발을 빼는 눈치보기 행태가 도를 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