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민관합동조사단 구성...박원순 성추행 진상규명” 밝혔으나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20-07-16 11:04:11
    • 카카오톡 보내기

    통합당, “고양이에게 생선가게 맡기는 격...특검 등 통해 수사해야"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서울시가 고 박원순 전 시장의 성추행 고소 사건 진상규명과 관련해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진상규명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야당의 반응은 냉소적이다.


    허은아 미래통합당 의원은 16일 "박 시장의 최측근들은 잠재적 방조자"라며 "(피해자의 내부고발을 묵살한) 서울시를 온전히 신뢰할 수만은 없다"고 비판했다. 


    이날 오전 라디오 방송에 출연한 허 의원은 "국민들이 과연 서울시 조사단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진상조사단의 기준은 피해자가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일단은 서울시의 자구책을 지켜보겠지만 일말의 의혹이라도 있을 경우 진상조사가 국회로 넘어오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도 전날 의원총회에서 “서울시가 자체적으로 진상 조사를 한다는 건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기는 것과 다를 바 없다”며 “조속히 사건을 검찰로 송치해서 특임검사나 특별수사본부를 통해 성추행 사건의 진실, 공무상 비밀누설 과정, 묵인이나 은폐를 공모한 흔적 등에 대해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성추행 의혹을 서울시 정무라인이나 비서실이 은폐하거나 방조한 제보가 있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조사를 하는 건 적절치 않다. 서울시는 수사나 조사의 대상”이라고도 했다.


    앞서 황인식 서울시 대변인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는 여성 단체, 인권 전문가, 법률 전문가 등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철저한 진상규명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관합동조사단 구성과 운영은 조사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외부인으로 구성하고, 조사단 구성과 운영 방식, 세부 일정 등에 대해선 여성 단체들과 구체적으로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에 따라 범행을 방조한 직원이 확인될 경우 고소할 계획인지에 대해선 서울시는 구체적으로 답변을 하지 않았다. 


    황 대변인은 "그런 부분에 대해서도 민관합동조사단에 충분한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한 조사의 방향, 조사의 구체적 사안을 판단해서 전문가들이 수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조사단이 판단해서 여러 가지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날 서울시는 박 전 시장을 성추행 혐의로 고소한 전 비서 A씨를 ‘피해 직원’이 아닌 ‘피해 호소 직원’이라고 호칭해 빈축을 샀다.


    황 대변인은 "현재 이 직원에 대해 피해를 우리 서울시에 공식적으로 그분이 말한 게 없다"며 "서울시도 현재까지 여성단체 통해 내용을 접하고 있어서 이런 부분에 대해선 현재로서는 그런 차원에서 말한 것이니 이해해달라"고 설명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