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위안부할머니 위한다더니...기막힌 거짓말 행적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20-05-19 11:12:20
    • 카카오톡 보내기

    안성쉼터 조성 놓고도 '이랬다 저랬다' 수시로 말바꾸기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쉼터 문제로 촉발된 각종 논란이, 좌충우돌 거짓 해명으로 논란을 키우고 있는 윤미향 정의연 전 대표 (더불어민주당 당선자)의 부적절한 처신이 더해지면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모양새다.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관계자는 19일 “2015년 12월 안성 쉼터를 평가해 경고 조치를 내렸고, 회계평가에선 영수증 같은 증빙서류가 미비하고 예산 변경에 대한 절차를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F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실제 공동모금회는 2012년 8월 현대중공업으로부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위한 쉼터 매입 비용으로 10억 원을 지정 기부받아 정의연의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희(정대협)에 전달했고 정대협은 2013년 9월 안성 쉼터를 7억5000만 원에 매입했다.


    이후 공동모금회 점검 과정에서 정의연은 ‘위안부 피해자의 활동률이 매우 낮다’는 이유로 사업평가에서 경고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특히 회계평가에선 가장 낮은 F등급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부문별로는 사업평가에서도 위안부 피해자 프로그램 실적이 없어 사업평가의 5단계(A, B, C, D, F) 중 세 번째인 C등급을 받았다. 경고 조치를 받은 공익법인은 향후 2년간 공동모금회 측이 운영하는 분배 사업에 참여할 수 없다는 규정에 따라 정대협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윤미향 당선자의 꼬리에 꼬리를 무는 거짓말 대응을 두고도 논란이 적지 않다.


    딸 유학비 거짓 해명에 이어 이번에는 현재 거주 중인 A아파트(경기 수원시 권선구 소재. 84.42m²) 매입대금 출처를 놓고 말을 바꿔 거짓말 논란에 휩싸인 상태다. 


    앞서 윤 당선인은 2012년 3월29일 경매에 나온 A아파트를 단독 응찰 낙찰받는 과정에 동원된 현금 2억2600만원 출처에 대한 의혹이 일자 당시 살고 있던 B아파트 매각자금으로 대체했다고 밝혔으나 이 역시 거짓말로 드러나면서다. 


    실제 윤 당선인은 ‘어떻게 마련한 현금으로 잔금을 치렀나?’라는 의혹이 일자 “전에 살던 아파트를 매각한 자금으로 현재 거주 중인 아파트를 산 것”이라며 “당연히 법무사를 통해 등기했고 그 과정이 다 드러나 있다. 당시 아파트 매매 영수증도 다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곽상도 미래통합당 의원은 “윤 당선인이 1999년부터 14년간 거주한 수원시 영통구 B아파트는 2013년 1월7일 1억8950만원에 매각됐다. A아파트 경매 낙찰 시점보다 약 9개월 후”라며 “윤 당선인이 기존 아파트를 판 자금으로 경매에 임했다고 하는데 이는 거짓이다. (9개월의 시차가 발생해) 전에 살던 아파트 매각 대금이 아니라 다른 자금으로 (A아파트를) 경매 취득한 것이 분명하다”고 반박했다.


    그러자 윤 당선인 측은 재차 설명자료를 내고 “2012년 1월 경매사이트를 통해 아파트를 2억2600만원에 낙찰받았고, 입찰 보증금으로 입찰 금액의 10%인 2260만원을 냈다”며 “그해 4월 남은 금액을 정기적금 해지, 가족을 통한 차입, 기존 개인 예금 등으로 충당했다”고 말을 바꿨다. 


    그러면서 입장 번복에 대해 “오래된 일이라 기억 착오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윤 당선인의 거짓말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윤 당선인은 딸의 UCLA 거액 유학비를 어떻게 충당했느냐는 의혹이 일자, “남편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형을 살았다가 국가로부터 받은 형사보상금과 손해배상금으로 유학비를 마련했다”고 소명한 바 있다. 


    실제 윤 당선인의 남편 김모씨는 1994년 10월 일명 ‘남매 간첩단 사건’으로 징역 4년 등 선고받고 복역했지만, 재심을 통해 2017년 5월 대법원으로부터 일부 무죄 판결을 받았다.


    이후 형사보상금 1억9000만원에, 국가 상대 손해배상 소송으로 2018년 8900만원을 지급받았다. 윤 당선인은 이렇게 받은 돈을 2018년 9월부터 2020년 3월까지 6학기 동안 딸에게 소요된 학비(6만620달러)와 기숙사비(2만4412달러) 등 8만5000달러를 지불하는 데 썼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참여연대 출신 김경율 회계사는 윤 당선인의 이 같은 주장이 시기적으로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회계사는 지난 12일 페이스북에 “(윤 당선인 부부가) 2018년 대법원 확정 판결에 따른 채권을 유동화한 ABS(자산유동화증권) 발행으로 2016년 이후 유학 자금 마련했다”면서 “이 순간 이후부터 (정의연 관련) 의혹을 제기하시는 분은 친일 잔존 세력, 적폐, 짐승, 야수에 다름 아니다”며 적었다. 시기상 2년이란 간극이 존재하는 것을 비꼰 것이다.


    곽상도 의원은 “윤 당선인은 후원금을 개인 계좌 3개를 통해 받아온 것이 드러났음에도 개인계좌 거래 내역을 국민 앞에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자녀 미국 유학 자금 마련이 어려우면 부동산을 담보로 은행에서 돈을 빌렸을 텐데, 부동산 담보로 거래한 적도 없는 걸로 봐서 현금 등이 풍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개인계좌로 받은 후원금의 사용처가 수상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