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안철수 전 의원이 바른미래당 탈당 나흘 만에 2일 창당 계획을 발표하는 등 독자 신당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정치권은 '철수 정치' 기록이 더해질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모양새다.
이날 ‘탈이념·탈진영·탈지역’을 기치로 한 실용적 중도정당 창당을 공식화한 안 전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 대한민국이 이대로 안 된다는 소명의식으로 다른 정당과는 완전히 다른 정당을 만들고 싶다"며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그러면서 정당 규모와 국고보조금을 기존의 절반으로 줄이는 ‘작은정당’, 당원이 정책을 제안하는 ‘공유정당’, 당 사무에 블록체인 공문서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는 ‘혁신정당’ 등을 신당의 3대 기조로 내걸었다.
신당 목표에 대해 안 전 의원은 “정부 여당의 폭주를 저지하고 강력하되 합리적인 야당 모델을 21대 국회에서 제시하겠다”며 ‘투쟁하는 중도’를 제시하면서도 “일하는 정치를 위해 장외집회와 장외투쟁에 참여하기보다는 국회 내에서 열심히 투쟁하겠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정치 입문 이후 두 번째 탈당과 네 번째 창당을 기록하게 되는 안 전 의원의 짧지 않은 정치사가 새삼 정치권 화제가 되고 있다.
안 전 의원은 앞서 2012년 정계에 입문한 이후 ▲새정치민주연합(2014년) ▲국민의당(2016년) ▲바른미래당(2018년)을 창당하고 해당 정당에서 2번의 탈당을 감행, '철수 정치'의 대명사격으로 낙인찍힌 바 있다.
이번 탈당 과정에서 "안 전 의원이 이미 신당창당을 결정해놓고 손 대표와 협상하는 모양새만 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따르는 이유다.
실제 바른미래당 내부에선 안 전 의원이 손 대표와 귀국 후 첫 만남을 공개적으로 갖고 탈당까지 불과 이틀이 걸린 과정에 대해 " 협상의 노력이 보이지 않고 일방적이었다"는 불만이 제기되는 모양새다.
특히 네번째 창당의 '완주' 여부에 대해서도 대체로 회의적이다.
현재 안 전 의원이 '실용적 중도 정치'를 외치며 보수 통합에 선을 긋고 있지만 국민들의 관심도 및 자금과 세력 등 극복해야 할 정치적 현실이 한계선에 이르면 결국 범보수 통합 논의에 합류하지 않겠냐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