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 “검찰 발표는 최종수사 결과 아냐...사실 아닌 것도 있어”
검, “당사자들 일방적 주장일 뿐...수사결과 보면 수긍 할 것”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에 대한 감찰 무마 의혹과 함께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울산시장 선거에 청와대가 개입했다는 ’하명 수사‘ 의혹을 둘러싸고 청와대와 검찰이 정면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16일 청와대와 검찰 등에 따르면 대검찰청은 "검찰 수사 보도가 통제되는 상황에서 청와대 발표는 사실 관계나 증거를 알지 못하는 당사자들의 일방적 주장"이라며 “절차에 따라 수사를 하고 있고 수사 결과를 보면 수긍할 것”이라고 받아쳤다.
전날 오후 4시경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이 낸 서면자료에서 “검찰의 발표는 최종수사 결과가 아니다”며 “언론에 보도된 부분 중 사실이 아닌 것이 있다”고 지적한 데 대해 반박한 것이다.
윤 수석은 유 전 부시장이 금융위원회 재직 시절 금융 관계자들로부터 4950만원의 금품을 받았다고 적시된 검찰 공소장 내용을 반박한 데 이어 언론이 유 전 부시장과 김경수 경남도지사, 윤건영 국정상황실장, 천경득 총무비서관실 선임행정관 등 청와대 핵심인사들이 텔레그램 단체대화방에서 금융위원회 고위직 인사를 논의했다고 보도한 부분에 대해서도 강력 부인했다.
윤 수석은 "민정수석실은 수사권이 없는 감찰을 했고, 감찰이라는 범위와 한계 내에서 밝혀진 사실을 토대로 인사 조치를 했다"고 강조했다.
또 윤 수석은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울산시장 선거에 청와대가 개입했다는 ’하명 수사‘ 의혹과 관련해선 "다시 한 번 밝히지만, 청와대는 김기현 비리 첩보를 수집하지 않았고, 하명 수사도 없었다"고 일축했다.
이어 "행정관이 이른바 ‘고래 고기 사건’ 관련 울산 출장 후 작성한 보고서까지 공개했는데, 하명 수사라는 보도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발했다.
하지만 전날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조사를 받은 김 전 시장은 “황운하 청장이 울산에 부임하고 몇 달 안지나 김기현을 뒷조사한다는 소문이 계속 들리더라. 청와대 오더(지시)가 있었다는 얘기가 많이 들렸다”고 주장했다.
김 전 시장은 이날 오전 다시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기로 했다.
한편 동아일보는 지난해 6·13지방선거를 앞두고 울산시 공무원들이 비공개 내부 문건이나 정보를 더불어민주당 후보였던 송철호 현 울산시장 측에 제공한 사실이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앞서 검찰은 6, 7일 송 시장 캠프 출범 전부터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던 송병기 울산시 경제부시장의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면서 확보한 외장하드 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문건 유출을 파악, 해당 문건과 정보 등을 토대로 송시장 측이 선거전략을 만든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