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또 다시 거짓말 논란에 휩싸였다.
유 이사장이 지난 2일 "2004년 국가보안법 폐지 등 개혁입법을 추진할 때 한나라당이 육탄으로 저지해서 실패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당시 당시 열린우리당 의장이었던 이부영 전 의원이 "왜곡된 거짓말"이라고 공개적으로 반박하면서다.
실제 이 전 의원은 최근 페이스북 글을 통해 “유 이사장이 JTBC 신년토론에서 2004년 개혁입법 실패와 관련해 거짓말을 했다”며 “2004년 4대 개혁입법 실패는 국가보안법 개정 여야합의를 여당(열린우리당)이 파기한 탓”이라고 주장했다.
이 전 의원에 따르면 당시 국가보안법 완전폐지, 신문법, 과거사법, 사학법 개혁입법 처리 과정에서 국가보안법 폐지를 두고 불거진 열린우리당 내부 이견이 합의 실패로 이어졌다.
이 전 의원은 “(당시) 야당은 국회를 점거하지도 않았고 여야협상은 순항했다"며 "(하지만) 여당이 국가보안법 완전폐지를 주장하는 바람에 협상은 깨졌다. 그리고 열린우리당은 분열했고 정권을 빼앗기고 말았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 개혁입법 도입 실패에 여당 내 분열이 더 큰 원인이 됐다"면서 "국가보안법 개정안은 국가보안법 7조의 대부분인 찬양, 고무, 동조, 회합, 통신 등 5개 독소조항을 삭제하기로 합의했다. 이렇게 개정되면 국민의 기본권, 특히 언론 집회 사상 결사의 자유가 엄청나게 신장될 것이었다”며 "(그러나 완전폐지를 주장했던) 당시 천정배 원내대표와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측근인 유 의원 등의 반대로 수정안 처리가 무산됐다"고 주장했다.
이 전 의원은 “여야협상을 추진하도록 지지했던 3선 이상 중진의원들은 청와대 지지를 받고있는 것으로 보였던 유시민 의원 등 국가보안법 폐지파 의원들의 살기등등한 기세에 눌려 침묵했다”며 “이렇게 국가보안법 개정안은 물거품이 됐다. 통진당도 그 악법에 따라 해체당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보안법으로 4차례 구속당했던 나만큼 국가보안법에 한이 맺힌 사람도 드물다. 여당에게 정말 유익해서 추진했던 국가보안법 개정 작업은 나를 몰아내는 것으로 끝났다”면서 “그러나 지금도 유시민 의원을 비롯한 국가보안법 폐지론자들은 자신들의 과오를 인정하지 않고 거짓주장을 일삼고 있다”고 거듭 비판했다.
이어 “나이를 먹고 현역정치에서 물러났으면 못 본 채 지나칠 수 있으나 역사를 조작하거나 거짓주장을 하는 것은 용서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당시 강경파 의원들로부터 "배신자"라는 말까지 들었던 이 전 의장은 국보법 처리에 실패한 본회의 이틀 뒤 당 의장직에서 물러났다.
유시민 이사장의 거짓말이 도마 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실제 임찬종 SBS 기자는 지난 2일 '사기꾼으로 부르려면 몇 번의 거짓말이 필요할까요' 제하의 페이스북 글로 유 이사장을 직격했다.
임 기자는 “앞서 페이스북에 유시민 씨가 ‘알릴레오’에서 밝힌 내용 중 허위사실이 있다는 점을 몇 차례 지적한 적이 있다"며 “제가 밝혀낸 것만 해도 유시민 씨가 허위발언을 한 것은 여러 번이지만, 이 정도를 가지고 사기꾼이라고 부르는 것이 법적으로 허용되는지는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실제 유 이사장은 최성해 전 동양대 총장, 심재철 한국당 원내대표,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등과 충돌하면서 거짓말 논란을 야기했고 특히 대형 가족 스캔들로 물의를 빚은 조국 전 정무수석을 일방적으로 두둔했다가 허위로 드러나면서 빈축을 사기도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