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전대 반영 당원 비율 견해 차로 기싸움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22-12-06 13:28:39
    • 카카오톡 보내기

    친윤 김정재 “9대1 상향 조정 의견 굉장히 많아”
    친유 하태경 “7대3 아닌 3대7해야...거꾸로 간다”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이 3월 전당대회로 가닥을 잡은 가운데 전대에 반영할 당원 비율에 대한 견해 차로 기싸움을 벌이는 양상이다.


    선거인단 (대의원·책임당원·일반당원)의 유효투표 결과 70%, 여론조사 결과 30%를 반영하기로 한 전대룰에서 당원 반영 비율을 상향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다.


    이에 대해 친윤계 김정재 의원은 6일 “당원투표 (비중을) 늘리자는 의견들도 당내에 굉장히 많다”며 경선룰 변경에 힘을 실었다.


    김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2024년 총선에서 수도권·MZ세대를 소구할 수 있는 당대표를 선출하려면 비당원 비중을 확대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의에 “당 대표는 우리 당원들이 뽑는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민주당은 예전부터 9대 1로 했다”며 “저희들은 계속해서 국민 여론 반영률이 좀 높았는데 이걸 9대 1로 (상향해), 당원들이 당 대표를 뽑도록 해보자는 의견들도 당내 굉장히 많다”고 거듭 강조했다.


    친윤계 중진 의원은 “국민의힘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이 대표 경선을 좌지우지해서야 되겠는가”라며 “9대 1로의 비율 개정은 물론이고, 역선택 방지조항도 이번 전대 룰에 반드시 넣어야 한다”고 말했다.


    역선택 방지조항은 여론조사에서 지지 정당을 먼저 묻는 조항이다. 국민의힘 지지자나 무당층이 아닌 경우 조사를 중단시킨다. 지난 국민의힘 대선 경선 때는 역선택 방지 조항이 논란 끝에 제외됐다.


    하지만 대표·최고위원을 뽑는 경선룰에는 대체로 이 조항을 넣는 게 관례였다.


    2018년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시절 당헌에 ‘당이 실시하는 각종 여론조사에 있어 여론조사 대상을 국민의힘 지지자와 지지정당이 없는 자로 제한할 수 있다’(99조)는 역선택 방지 근거 특례조항을 만들기도 했다.


    반면 유승민계로 분류되는 하태경 의원은 새 대표를 뽑기 위한 전당대회 규칙과 관련해 "수도권 민심, MZ(2030세대) 민심 하면 오히려 7대 3이 아니라 거꾸로 7대 3, 민심을 7로 하고 당심을 줄여야 하는데 지금 거꾸로 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에서 최근 주호영 원내대표가 언급한 '차기 당대표 3대 조건'(△수도권에서 이길 수 있고 △MZ세대에게 인기가 있어야 하며 △공천의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을 거론하면서 "(거기에 더해) 당 경선 룰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전당대회 규칙을) 7대 3에서 9대1로 바꾼다고 하는데 당심을 7에서 9로, 당심이 수도권 민심이 아니라 TK 민심"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비대위는 여의도연구원을 통해 책임당원을 상대로 당원반영 비율을 묻는 여론조사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