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두 후보는 서로를 ‘윤석열 아바타’, ‘범죄 우두머리’로 낙인 찍는 등 날선 질문 공세를 이어가며 이목을 끌었다.
먼저 이 후보가 “김 후보는 국무위원 중 유일하게 비상계엄에 대해 사과하지 않았다”고 지적하자 김 후보는 "계엄에 절대 반대고, 해제는 반드시 해야 한다"면서도 "일종의 군중재판식(으로 사과를 요구했다)"고 맞섰다.
그러면서 "사과할 마음은 있었냐"는 이 후보 질문에는 "계엄 자체를 반대한다"고 받아쳤다.
이어 이 후보가 "내란 행위가 아니라고 계속 우기던데 국회를 침탈했고 국민 기본권을 이유 없이 제한한 게 내란이 아니면 대체 어떤 것이 내란이냐"고 비판하자 김 후보는 "내란이 아니라고 말한 적 없다"면서 "내란죄는 재판 결과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계엄은 계엄이고 내란은 내란"이라며 "그것을 섞어서 무조건 상대를 내란범, 내란 공범, 동조자라는 식으로 말하는 것은 심각한 언어폭력"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하면서 김 후보를 도우라고 지시를 했던 것 같다"며 "그런 걸 보면 김 후보는 내란 세력 그 자체 또는 최소한 내란을 비호하는 세력으로 보인다"고 내란 프레임을 걸었다.
반격에 나선 김 후보는 이 후보를 '부패, 부정, 비리, 범죄의 우두머리'라고 직격했다.
대장동ㆍ백현동 관련 의혹, 대북송금사건, 공직선거법위반 혐의, 배우자 법인카드 사적 유용 혐의 등 이 후보를 둘러싼 각종 재판과 의혹을 열거해가며 범죄자 프레임으로 총공세에 나선 것이다.
김 후보가 "대장동 하나 개발하는 데도 수천억 원의 의혹이 생기고 무수한 사람들이 재판받고 온 나라를 뒤흔들었다"고 날을 세우자 이 후보는 "수없이 많은 기소는 김 후보가 속한 검찰 정권, 윤석열 정권의 증거 없는, 조작 기소의 실상을 보여준다"며 “증거가 없다. (증거가)있었으면 제가 이렇게 멀쩡했겠나"라고 반박했다.
그러자 김 후보는 "이 후보의 주변 인물들이 너무 많이 돌아가신다. 특히 수사받다가 중간에 돌아가신다"고 이 후보 주변인들의 연이은 사망 사건을 지적하면서 "더 이상의 희생은 없어야 하지 않겠느냐. 지금이라도 사퇴하시는 게 맞지 않느냐"고 반격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전혀 근거 없는 일방적 주장"이라며 "검찰이 없는 사건을 만들려고 강압 수사를 심하게 하니까 그 사람들이 괴로워서 그렇게 된 것 아니냐"라고 비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