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오는 4월 총선에서 부정선거 의혹을 없애기 위해 ‘수개표’ 방식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현장에서 이를 처리해야 할 공무원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박중배 전국공무원노조 대변인은 23일 오전 M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완전 수개표를 하면 결과는 똑같이 나오지만 밤샘 작업과 엄청난 인력, 예산이 투입돼야 한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현재 지자체 공무원 위주의 강제 인력 동원과 최저임금도 안 되는 낮은 수당, 하루 13시간의 긴 투표 시간이 문제”라며 “지난 총선 때도 투표 사무의 46%, 개표 사무의 34%, 전체 80%를 기초단체 공무원들이 도맡아 했고, 개표 사무의 경우 필수인력은 공무원과 선거관리위원회 참여해 참관인 입회하에 공정하게 해 왔고 한 번도 문제는 없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수검표 방식은 그동안 일일이 사람 손으로 분류하는 방식을, 빠른 개표를 위해 투표지 분류 기계를 이용해 1차로 걸러내고 또 두세번 확인 작업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그는 “실제로 개표에서 전문성을 띤 사람들이 할 수 있는 범위는 검사 집계부 쪽 하고 투표지 분류기 쪽만 하고 나머지 처음 개함하고 투표 용지를 분류하는 건 누구나 할 수 있다”며 “그 과정에서 개표함 투표지 분류기 검사 직계부의 모든 개표 과정에서 각 정당의 참관인들이 입회하고 있기 때문에 부정의 문제는 있을 수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투표ㆍ개표공무원에 대한 수당과 관련해서도 “기존에 6만원 주는 걸 조금 인상해서 이번 총선에는 하루 14시간 근무에 13만원”이라며 “참관만 하는 참관인의 경우 6시간 근무에 수당이 10만원으로 인상됐는데 이것도 형평성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보물 작업도 휴일에 하는데 수당을 하루에 4만원 준다. 수당이 적으니 인력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또 투표사무원, 개표사무원이 새벽에 출근하고 새벽에 퇴근하는데 교통비도 책정돼 있지 않고 식사도 한끼 7000원으로 책정되니 주변 식당에서 이 가격으로 밥 먹을 데가 없다는 게 현실”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그러면서 “만약 정부가 예산 타령으로 수당을 올려주지 않으면 지난 지방선거와 대선에서 했던 것처럼 투표 사무 위촉은 공법상 계약 관계이기 때문에 본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할 수 없다”면서 “(동원 거부도)검토할 수 있다. 나는 도저히 못하겠다고 하면 안 되기 때문에 이번에도 투개표 사무원 간사와 서기를 포함한 선거사무종사 위촉 거부 운동을 강력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