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전대, 이재명 사법리스크 놓고 주자들 갑론을박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22-07-21 14:23:30
    • 카카오톡 보내기

    비명계-친명계, 시각 차 뚜렷...피해 여부 두고 기싸움

    [공정] 여론, 사법리스크 "있다" 59.2%..."없다" 32.4%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8·28 전당대회 당 대표에 출마한 주자들이 유력주자인 이재명 의원의 사법리스크를 놓고 비명계와 친명계가 뚜렷한 시각차를 보이며 갑론을박 기싸움을 이어가는 양상이다.


    비명계 대표 주자 격인 설훈 의원은 21일 경쟁 상대인 이재명 의원의 사법리스크에 대해 “이 의원의 사법 리스크에 대해 들은 이야기가 있는데 공개적으로 하기는 그렇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KBS라디오에 출연한 설의원은 "이미 수사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빨리 수사결과를 내놓아야 한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특히 설 의원은 "그동안 이 의원에게 전당대회에 나오지 말라고 한 가장 큰 이유는 당에 리스크를 준다는 것"이라며 "당 갈등을 심화시켜서 분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당권 주자로 나선 친문 성향의 강병원 의원도 같은 날 오전 페이스북에서 이 의원의 사법리스크를 거론하며 “오로지 한 사람에 의존하는 게 전부인, 한 사람의 정치적 진로에 따라 당이 뿌리째 흔들리는 ‘리더십의 위기’로는 한계가 명확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친문계 김종민 의원과 정세균계 이원욱 의원 등 반명계 의원 27명도 지난 19일 토론회를 열고 이재명 당 대표 체제와 강성 팬덤 정치, 사법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쏟아냈다.


    심지어 당의 통합과 혁신을 위해 '사법리스크' 발언에 대한 자제를 촉구해왔단 박주민 의원조차 "만약 사법리스크가 현실화 돼 당에 피해를 준다면 막중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맞서 친명계 의원들이 강력 반발 하는 분위기다.


    박찬대 의원은 "야당 정치인에게 '사법 리스크'는 어쩌면 숙명"이라며 " 당당히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8·28 민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갑자기 '사법리스크'가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김건희·윤석열·이준석의 사법리스크에 침묵하면서 왜 동지에 대해서는 뾰족한 날을 들이대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 캠프 대변인을 맡았던 현근택 변호사도 페이스북에 "집권여당에서 (사법리스크를) 공격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야당 내에서 이렇게 비판하는 것을 어떻게 봐야 할까"라며 "집권에 성공해 경찰과 검찰을 완벽하게 장악한 상황에서 수사가 어디로 향할지는 뻔한 일"이라고 당내 비명계 의원들을 겨냥했다.


    특히 "야당 정치인 중에서 사법리스크가 없는 분이 있느냐. 치열한 선거과정에서 고소·고발을 당하지 않았다면 열심히 하지 않았다는 뜻"이라며 "할 줄 아는 것이 수사밖에 없는 정권하에서 야당 정치인에게 사법리스크가 있는 게 문제냐, 없는 게 문제냐"고 반박했다.


    하지만 국민 10명 중 6명은 이 의원이 연루된 대장동·백현동 개발 의혹 등에 대해 '사법 리스크가 있다'고 판단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는 등 민심은 이재명 의원에게 우호적이지 않다는 관측이다.


    여론조사공정㈜이 데일리안 의뢰로 지난 18~19일 이틀간 전국 남녀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의원의 사법 리스크가 있다’는 59.2%, '리스크가 없다’는 32.4%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 8.5%).


    민주당 핵심 지지기반인 호남에서도 이 의원의 사법 리스크가 유효하다는 응답이 53.5%를 기록했고 무당층이나 정의당 지지층에서도 과반이 넘었다.


    특히 국민의힘 지지층의 경우 80.5%가 사법리스크가 있다고 봤다.


    다만 민주당 지지층에서만 이 의원의 사법 리스크가 없다는 응답이 61.2%로 과반을 넘겼다.


    이 의원의 당권 도전에 대해선 부정적(47.8%) 긍정적(46.3%) 여론이 오차범위(±3.1%p) 내에서 팽팽했고 민주당 지지층에선 82.4%가 이 의원의 당권 도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작위 무선 ARS전화조사 100% 응답률 5.4 %,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1 %p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