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수정안'이 상당 부분 철회되면서 이번 전대에서 당 대표는 물론 최고위원들까지 친명계의 장악 가능성이 커졌다는 지적이다.
우상호 민주당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당무위원회에서 당 대표 예비경선에서 일반 여론조사 30%를 반영하기로 한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안'을 그대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다만 최고위원 예비경선 부분은 비대위 의견을 반영해 '중앙위원회 100%' 컷오프' 하는 것으로 수정됐고 또 비대위가 최고위원 선거에서 도입하려 했던 '권역별 투표 제도'는 자진 철회했다고 밝혔다.
앞서 비대위는 전준위안과 달리 전당대회 예비경선을 '중앙위원회 100%'로 치르고, 최고위원 선거에 권역별 투표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가 친명계의 반발을 샀다.
특히 안규백 전당대회 준비위원장이 사퇴 카드로 강력하게 반발하자 비대위가 당무위를 거쳐 '절충'에 나선 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우 위원장은 "당무위 초반 1시간 정도는 양쪽 의견이 팽팽했다"며 "어느 의견도 당무위 정족수를 넘지 못할 것으로 판단해 양쪽 의견을 반씩 섞는 수정 의견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당대표 예비경선은 전준위 의견대로 여론조사 30%를 포함하되, 최고위원 예비경선에는 비대위 의견대로 여론조사를 하지 않는 방식으로 타협점을 찾은 것이다.
조오섭 대변인은 "물리적으로 최고위원 후보 15명으로 여론조사를 돌려 8명으로 압축하는 것이 힘든 부분도 있고, 변별력 문제도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민주당에서 약 10여 명의 인물이 최고위원 후보로 언급되고 있는데, 상당수가 친명계로 분류되고 있다.
여론조사가 배제되고, 특히 최고위원선거에서 지역 배분이 현실화될 경우 최고위원에 이름을 올릴 수 있는 친명계 의원들이 별로 없을 거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당무위가 비대위 수정안을 철회하면서 친명계 의원들이 최고위원에 진출 가능성이 커졌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