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이재명도 컷오프 가능성....전대룰 바꿔야”
최재성 “갈등 막으려면 룰이나 시기 변동 없어야”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이재명 의원이 8월 당 대표 경선에 나설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내에선 전당대회 룰 변경을 둘러싼 친문계와 친명계간 신경전이 팽팽하다.
전대 룰 변경이 당권의 향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상황 인식 때문이다.
9일 현재 민주당은 전당대회 경선에서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 일반당원 여론조사 5%를 반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친이재명계 의원들은 대의원 투표 비중을 낮추고 권리당원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권리당원 자격으로 ‘6개월 동안 당비 납부’를 규정해 놓았지만 3개월로 단축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경우, 올해 대선 직후 대거 유입된 이재명 의원 지지자들의 투표권 행사가 가능해지면서 범친문계와의 갈등이 불가피해지기 때문이다.
일단 ‘우상호 비상대책위’의 비대위원으로 선임된 이용우 의원이 전당대회 룰 변경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포문을 열었다.
이 의원은 전날 CBS 인터뷰에서 “우리 당이 선거에 졌던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중도라든지 이런 쪽의 의견을, 국민의 여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우리만의 논의에 빠졌던 것이 문제였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관점에서 (전대 룰 변경 문제를) 평가를 해봐야 한다”며 이렇게 밝혔다.
친명계 김남국 의원도 현재 전당대회 대의원·권리당원 투표 비중과 관련, "당심과 민심이 괴리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룰을) 조금 바꿀 필요는 있다"고 가세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현재 룰 구조로는) 저희 당에는 이준석 같은 젊은 정치인이 나올 수 없는 구조가 된다. 예컨대 이재명(의원)도 지금 출마해서 컷오프 돼 버릴 수 있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반면 친문계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이재명 의원이 틀림없이 당 대표 선거에 나설 것이고 당선 가능성도 가장 클 것으로 전망하면서 전당대회 이후 당내 계파 갈등을 막으려면 적어도 이번엔 전당대회 룰과 시기를 손대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대의원의 과대대표(대의원 1표가 당원의 60표) 개선, 전당대회 시기 조절 등에 나설 경우 전당대회서 패배한 쪽에 시비의 빌미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최 전 수석은 전날 오후 MBC라디오에서 “비대위에서 냉정하게 룰 문제, 시기문제부터 잘 검토하고 과욕을 부리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최 전 수석은 "룰이나 시기 문제를 바위처럼 놓고 미동도 하지 않고 전당대회를 치러야지 조금이라도 이동이 되면 바로 이해충돌 문제로 넘어가 위아래 할 것 없이 거대하게 충돌하게 돼 있고 어디로 튈지 모른다"라며 "따라서 비대위가 용기 있게 냉정하게, 온몸으로라도 화살 맞을 생각을 하고 전당대회 관리를 해야 된다"고 당부했다.
특히 조응천 의원은 권리당원 비중을 확대하자는 주장에 대해 오히려 "(일반 국민 비중을) 더 늘려야 된다"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조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물(일반 국민)을 타야지 지금 소금(권리당원) 더 넣을 때가 아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새누리당의 '폭망' 사례를 보면 2016년 총선에서 지고 난 다음 이정현, 홍준표, 황교안까지 대표 3명이 와서 탄핵당하고 지선 지고 대선 지고 계속 졌지 않았냐"며 "그때마다 태극기부대의 목소리가 점점 더 커지고 그것을 제어하지 못했다. 나중에 결국은 어떻게 했냐. 국민 여론조사를 50%까지 올렸다"고 설명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