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새정부 출범 후 한달 지났는데 매우 안타깝다. 정부는 남은 20여일 동안 25% 관세 뒤집기를 위한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정부가 미국을 포함해 14개국에 정부 특사단을 파견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도 “특사단 파견이 중요한 게 아니라 신속한 한미정상회담이 중요하다”며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신뢰를 구축하며 관세 협상을 주도하길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건 의원도 “정부는 우리 기업의 대미 수출에 차질이 최소화되도록 미국과의 협의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8월1일까지 남은 유예 기간이 길지 않은 만큼 외교 채널을 총동원해 국익에 기반한 호혜적 합의를 도출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또한 함인경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 정부의 무책임한 외교와 무능을 끝까지 지적하고 견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함 대변인은 “이재명 정부가 협상의 청구서를 받았는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타깃으로 지목하며 8월1일부터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식 서한을 발송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런데 이 정부와 민주당은 뭐가 그리 바쁜지 협상 테이블에 앉을 겨를조차 없어 보인다”라며 “민주당은 ‘검찰 조작기소 TF’를 꾸려 임기 초부터 대통령의 임기 말 ‘출구전략’을 짜느라 분주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에 모자란지 ‘방송장악 3법’ 강행 처리로 아예 여론을 틀어쥐려 하고 정부는 ‘공신 포상’ 수준의 ‘하자투성이’ 인사를 남발하며 내년 지방선거를 노린 선심성 퍼주기에만 매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당장 기분 좋은 잔칫상으로 보일지 몰라도 끝내 남는 건 국민 부담 뿐”이라며 “정작 국민에게 가장 무겁게 돌아올 관세 협상엔 무심하고 남의 일처럼 늦장 대응”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민은 ‘쇼’에 치중해 외교에서조차 엇박자를 내는 정권의 모습을 보자고 세금을 내는 게 아니다. 남은 기간만큼은 외교와 협상에 집중해 국민께 성과를 가져와야 한다”고 압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