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히 교체명단 발표 일주일 전부터 김병준 비대위원장과 김용태 사무총장이 특정 인사들을 대상으로 해당 지역 당협위원장직을 권유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천' 의혹마저 제기되는 양상이다.
한국당 관계자는 17일 “현역의원을 교체하는데 기본권리인 이의제기마저 원천봉쇄하는 등 당협위원장 교체과정에 석연치 않은 부분이 많다"며 "'용단' 운운하는 김 사무총장 경우만 해도 실상은 어려워진 현 지역구 대신 고향인 대전으로 옮겨가기 위한 셀프교체에 불과한데 언론은 물론 조강특위까지 '띄우기'에 나서는 모습은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관계자는 "조강특위 외부위원이 밀실에서 결정한 결과라고 하더니 비대위원장이나 사무총장의 '낙점' 전화는 어떻게 된거냐"면서 "항간에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는 소리가 파다한데 못듣고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 이진곤 한국당 조강특위 외부위원은 조강특위 위원장이면서도 교체 명단에 오른 김용태 사무총장과 관련, 전원책 변호사 영입 때부터 당협위원장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이 위원은 이날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김 총장은 처음부터 희생을 각오하고 이 작업에 참여했다"며 "먼저 결심을 해 줘 우리 부담도 줄었고 인적 쇄신의 명분도 생길 수 있었다”고 밝혀 당사자 요청에 따라 김 사무총장을 교체명단에 올린 사실을 공개적으로 시인했다.
이에 대해 복당파이면서 교체된 한 의원은 “탈당과 복당 전력이 문제라면 복당파 20여명이 모두 교체대상이 돼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왜 6명만 교체하느냐”고 반발했다.
이어 “김용태 총장이 교체대상에 오른 것을 보고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그건 시나리오였다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학재 의원 등 바른미래당에서 복당 절차를 밟을 것으로 알려진 의원들이나 원외 인사를 위해 당협위원장 자리를 비워둔 것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진곤 조강특위 위원은 “꼭 그분을 위해서 자리 비워놓고 기다리는 게 아니고, 그분이 와서 응모를 하면 다른 경쟁자분들과 같이, 같은 조건에서 저희들이 심사를 하게 된다”고 일축했다.
다만 “만약에 당에서, 이분을 영입 형식으로 모셔온다면 좀 더 유리한 조건이 부여될 수도 있다”고 부연, 복당하는 특정인을 위해 자리를 비워둔 사실을 우회적으로 시인했다.
교체대상이 된 현역의원들의 반발도 이어졌다.
곽상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당협위원장 교체는 납득할 만한 기준이나 원칙이 있어야 하는데 전 (박근혜)정부 초대 청와대 민정수석을 역임했다는 이유만으로 불공정하게 자격을 박탈당했다"고 반발했다.
홍문표 의원은 “홍준표 전 대표가 선거 참패에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했다"면서 "그 다음이 김성태 전 원내대표, 함진규 전 정책위의장인데 그 사람들은 그대로 두고 사무총장을 건드리는 건 이해할 수가 없다”고 날을 세웠다.
한편 한국당은 '인적쇄신' 발표 이후 뒤숭숭한 분위기 속에서도 후속작업에 본격 착수한다.
우선 현역 의원들을 위원장직으로 배제하기로 한 21곳을 포함한 79곳의 국회의원 선거구의 새 조직위원장(당협위원장)을 선정하기 위한 공모 절차에 들어갔다.
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는 지난 15일부터 20일까지 공모 신청서를 교부하고, 오는 18일부터 20일 오후 5시까지 신청을 접수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