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당 관계자는 23일 “당권주자들의 주요 관심사는 '당원 투표-일반국민 여론조사' 비율과 지도체제 변경 여부”라고 전했다.
현재 비상대책위원회 산하 정당개혁위원회에서는 '당원 70% 대 국민 30%'로 돼 있는 현행룰을 '당원 50% 대 국민 50%'로 변경할 것을 지도부에 제안한 반면, 당내 당헌·당규개정위원회에서는 국민투표 비율을 현행보다 낮추고 당원투표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로서는 정당개혁위원회는 전당대회 룰과 지도체제 등을 논의하고 제안하는 역할을 하고, 당헌·당규개정위원회는 이를 최종결정하는 기구인 만큼 정당개혁위 안이 당헌.당규개정위에서 변경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장당개혁위 관계자는 “당원 비중이 높다보니 특정 계파의 '줄 투표'와 무분별한 당원 늘리기로 인한 '유령당원' 현상 등 각종 문제가 발생 한다”며 “이런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민여론반영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헌.당현개정위원회 관계자는 “당원들의 대표를 뽑는 전대에서 당원과 국민 비중을 동일하게 두는 것은 원칙에 맞지 않는다”며 “국민 선출 직도 아닌데 국민여론반영을 너무 높게 잡으면, 당원들의 권리가 상대적으로 박탈되는 것"이라고 반대 입장을 피력했다.
당권 주자들 사이에서도 유불리에 따라 의견이 엇갈리는 양상이다.
수당파 측은 당원투표비율이 높은 쪽을, 복당파들은 국민여론 반영 비율을 높이길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체제 변경여부도 주요 관심사다.
한국당은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 당시 홍준표 전 대표를 선출한 2017년 7월 전대를 앞두고 기존의 집단지도체제에서 대표 1인에게 전권을 주는 현행 체제로 개정한 바 있다.
그러나 홍 대표 시절 당 대표에 대한 '독주' 논란, '불통' 비판이 빈번하게 불거지면서 이를 통제할 대안차원으로 예전의 집단지도체제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됐다.
다만 이 역시 결정 '민주성'에 방점을 둔 체제로 평가받고 있지만 계파갈등을 극대화시킬 위험이 있다.
실제로 집단체제였던 김무성 대표체제 당시 서청원 당시 최고위원과 현안마다 부딪히며 당 운영이 표류되는 등 계파갈등이 오히려 극심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정당개혁위원회가 지난 19일 의원총회에서 절충안으로 제안한 '혼합형 지도체제'에 관심이 쏠리는 모양새다.
이는 대표와 최고위원을 통합해서 선거를 치르는 집단지도체제 방식으로 하되, 대표의 결정권 등 지위를 인정해 대표가 지도부를 주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