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용태 한국당 사무총장은 2일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아직 비상대책위원회 의결은 거치지 않았으나, 2월 27일 일산 킨텍스와 가계약을 한 상태"라며 "그 때까지 전당대회준비위원회를 구성 등 전당대회까지 필요한 준비를 끝마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당은 3~4차례 정도 전당대회 토론회를 운영하지만 순회경선 없이 모바일 투표와 현장투표를 종합해 당일 최종 당선자를 선출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차기 전당대회 후보군으로 원내에서는 심재철·정우택·주호영·정진석·김성태·안상수·김진태 의원 등이, 원외에서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김태호 전 경남지사·황교안 전 국무총리 등 약 10명이 거론되고 있다.
이 가운데 당 안팎의 관심은 황교안 전 총리와 오세훈 전 시장의 출마여부에 쏠리고 있다.
오 전 시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미래비전특위 세미나 직후 취재진과 만나 "지도체제 논의가 무르익어가긴 하지만 아직 결정된 바는 없지 않느냐"며 "지도체제가 가닥이 잡힌 다음 거취를 결론내리겠다"고 말했다.
이어 "총선을 앞두고 당내 의견의 충돌과 격화가 있을 수 있는 상황에서는 단일지도체제가 훨씬 더 실효성이 있고 신속하게 갈등을 수습해갈 수 있는 효율적인 체제가 될 것"이라며 단일성 지도체제를 선호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다만 그는 "(단일성 지도체제가) 관철되는 게 (전당대회 출마의) 전제조건이라고 말하는 것까지는 조금 너무 과하다"고 한발 물러서면서 '압력'으로 비쳐질 가능성을 경계했다.
황교안 전 총리 출마와 관련한 당내 시각은 전대에 나설 가능성과 그렇지 않을 확률을 50 대 50이다. 전당대회 불출마를 예상하는 측에서는 황 전 총리가 ‘상처’를 입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만약 당대표 선거가 이전투구 양상으로 치닫게 될 경우, 정치 경험이 전무한 데다 신사적인 이미지를 강점으로 하는 황 전 총리가 가장 큰 피해자가 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반면 곧바로 대선에 도전했던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와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의 실패를 목도한 황 전 총리가 대권 도전의 정지작업 차원에서라고 당권 도전에 나서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있다.
실제 세력을 구축하지 못하고 대선에 나섰다가 중도 포기했던 안 전 대표나, 이른바 ‘검증’ 수순에 돌입했다가 상처만 입고 물러났던 반 전 총장의 사례를 목도한 황 전 총리가 당권도전을 피할 수 없을 거란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