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현행 단일지도체제 유지키로..당내 반발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9-01-16 00:02:00
    • 카카오톡 보내기
    김무성 “아주 잘못된 결정"...일부 주자들도 반대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자유한국당이 당 지도체제와 관련, 현행대로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결정한 데 대해 당내 반발이 이어지는 형국이다.

    김무성 의원은 15일 "과거 제왕적 통제권력이 배후에서 당을 ‘리모트 컨트롤(조종)’ 할 때와는 다른 상황"이라며 "아주 잘못된 결정"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우리 당 재집권을 위해서는 모든 세력이 서로 견제와 힘의 균형을 만드는 집단지도체제가 통합과 화해의 길이었다"고 아쉬움을 토로하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이런 잘못된 결정의 결과로 다음 대선 전초전이 약 2년 반 앞으로 당겨졌다"면서 "이번 전당대회에서 차기 대선주자들의 치열한 경쟁이 전개될 경우 그 결과는 (과거 민주당 문재인-안철수 사례처럼) 분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김문수, 김진태, 조경태, 주호영, 심재철 등 당권주자들도 최근 공동성명을 통해 집단지도체제의 도입을 주장한 바 있다.

    이들은 당시 성명서에서 “당의 단합된 모습과 민주적인 운영을 가져올 합의형 집단지도체제가 현 상황에서는 우리 당을 살려내는 길”이라며 “단일형 집단지도체제는 당대표의 독주와 전횡이라는 위험요소를 안고 있는 데다 1부 리그와 2부 리그로 나뉠 수밖에 없어 우리 당의 역량을 우리 스스로 왜소화시키는 구조적인 문제를 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 10월 비상대책위원회 산하 정당개혁위원회가 공개한 당원 대상 설문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4%가 집단지도체제를 선호한다고 답했다”면서 “만약 단일성 지도체제를 그대로 유지한다면 대표선거를 둘러싼 세 과시와 그 대립 등으로 가까스로 봉합돼가는 계파적, 분열적 상처가 덧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김용태 사무총장은 전날 "지난 의원총회에서 의원들 의견을 수렴할 때, 현행체제로 전당대회를 열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가 많았다"면서 "현행체제로 전당대회를 치르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행 단일지도체제 하에서 최고위원회는 당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을 포함하며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최고위원 3인, 여성최고위원 1인, 청년최고위원 1인, 당대표가 지명하는 지명최고위원 1인 등 총 9명으로 구성된다. 한국당은 다만 이번 당헌·당규 개정을 통해 여성최고위원을 따로 선출하지 않고 기존 선거에 포함시켜서 뽑기로 했다.

    한국당은 전체적인 당헌·당규 개정안을 이날 의원들에게 배포할 계획이다.

    이후 17일 오후 2시 상임전국위원회, 오후 3시 전국위원회를 통해 당헌·당규 개정안을 통과시킬 예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